AI 발생지 계란 반출 일주일간 금지

정부, 확산 방지 특단조치… 계란수입 추진
道, 대규모 농장에 이동 방역시설 추가 설치

정부가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에 대한 특단의 조치로 AI 발생 농가 3㎞ 인근 농장의 계란 반출을 일주일간 전면 금지하기로 결정했다. 또 계란 수급 조절을 위해 계란 수입까지 추진된다.

 

19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농식품부는 이날 김재수 장관 주재로 가축방역심의회를 열고 이번 주 내로 전국 AI 발생 농장 반경 3㎞ 방역대 내 모든 농장으로부터 일주일간 계란 반출을 전면 금지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발생 농장 반경 500m 내 계란 반출만 금지했으나, 계란 반출을 위해 농가를 수시로 드나드는 운반차량이 바이러스 전파를 확산시키는 주범으로 꼽히면서 이를 확대한 것이다.

또 정부는 산란계 농가가 이번 AI로 인해 큰 피해를 입게 되면서 ‘계란 대란’이 가시화하자 계란 수입도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는 관계부처와의 협의를 통해 AI 발생국이 아닌 미국, 캐나다, 스페인, 호주, 뉴질랜드 등에서 수입을 추진할 방침이다.

 

아울러 앞으로 AI 발생 농가 500m 이내에 있는 농장 가금류는 전부 살처분·폐기된다. AI 매뉴얼인 긴급행동지침(SOP)보다 더 강력한 방식이다. 반경 500m~3㎞ 보호지역 내 농가에 대해서는 관할 지자체 및 농가에서 자체적으로 AI 감염이 우려된다고 판단돼 예방적 도살처분을 희망하는 경우 즉각 도살처분 작업에 나설 계획이다.

 

인력이 부족해 직원들의 피로도가 늘어나고 살처분이 지연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산하기관과 협업해 ‘AI 기동방역 타격대’ 및 민간 전문 인력도 투입하기로 결정했다. 일각에서 꾸준히 제기되는 백신 접종의 필요성과 관련해서는 AI 유형이 144가지에 달해 현재로서는 신중하게 검토하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 외에도 정부는 안성천 야생조류에서 검출된 H5N8형 AI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한 대책도 발표했다. 해당 바이러스가 오리에 감염이 더 쉽게 되는 경향이 있는 만큼 예찰을 확대하는 한편 야생분변에서 추가로 해당 바이러스가 검출될 경우 방역대 내 가금류에 대해 적극적인 살처분을 시행하기로 했다.

 

이런 가운데 경기도 역시 10만 수 이상 대규모 가금류 농장 출입로에 임시 이동 방역시설을 추가로 설치하는 등 강력 방역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도는 이날 오전 남경필 경기지사 주재로 AI재난안전대책회의를 열고 임시 이동 방역시설을 원하는 도내 41개소 대규모 가금류 농가에 고정형 소독기 및 부대시설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남 지사는 “현재 수준의 방역시설로는 빠른 AI 확산을 막기에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다”면서 “대규모 가금농가에 별도 방역시설을 마련하는 등 방역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진경ㆍ유병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