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나머지 닭 전면 살처분
‘청정지대’ 광주서도 발생
19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 18일 파주시 법원읍의 한 도계장에서 도축 전 닭이 집단 폐사해 간이검사한 결과 AI 양성 반응이 검출됐다.
이 도계장은 이천에서 닭 16만3천 마리를 들여와 지난 15∼16일 이틀간 1만3천 마리를 도내 7개 시ㆍ군, 11개 업체로 출하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15일 도축한 닭을 출하하기 전 검사를 받았으나 음성 반응이 나와 일부를 출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도는 해당 도계장을 폐쇄 조치하고 유통한 닭의 출하 경로를 파악하는 한편 나머지 닭에 대해 전면 살처분 조치를 내렸다.
앞서 이 도계장은 지난달 26일 AI 의심신고가 접수된 세종시의 산란계 농가로부터 닭 5만 마리를 공급받은 것으로 조사돼 해당 닭을 전량 소각 처리하고 방역 문제로 잠정 폐쇄됐었다. 이후 간이검사에서는 음성으로 판정돼 지난 12일 도계장 영업을 재개했다.
지난 2000년대 초 구제역과 AI 등 가축 전염병이 전국을 휩쓸 때도 피해를 면하면서 청정지대로 분류됐던 광주시도 결국 AI 사태를 피해가지 못해 방역 당국이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지난 18일 4만5천여 마리의 산란계를 사육하는 광주시의 한 농가에서 AI 양성반응이 확인됐다. 특히 해당 농가 인근에는 광주시 전체 사육 두수의 70%가량인 44만여 마리를 사육 중인 농가가 위치해 피해가 더욱 확산할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또 이날 37만여 마리의 산란계를 사육하는 평택시의 한 대규모 농가에서도 AI 의심 신고가 접수되면서 도내 전역이 비상에 걸렸다.
도 관계자는 “파주시 도계장에서 유통된 닭에 대해서는 경로를 파악해 즉각 회수하는 등 추가 확산 방지를 위해 소독시설 확대 등 추가 방역 대책을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양주시는 AI피해 보상금과 관련, 구제역과 같이 정부가 전액 국비로 보상금을 지원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현재 AI 발생농가에 대한 살처분 보상금은 현재 국비 80%, 도비 10%, 시비 10% 등으로 지원된다.
양주시 관계자는 “농가들이 많은 피해를 보고 있으나 살처분 보상금은 내년 국비 지원규모가 정해져야 예산에 반영할 수 있어 빨라도 3월 추경에나 가능할 것”이라며 “피해농가와 재정이 열악한 지자체를 위해서라도 전액 국비로 지원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말했다.
한상훈ㆍ한진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