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양성’ 파주 도계장, 도내 7개 시·군에 1만3천마리 유통

道, 나머지 닭 전면 살처분
‘청정지대’ 광주서도 발생

▲ 황교안, 이천 AI방역 현장 방문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9일  이천시 AI방역현장을 방문, 방역 관계자와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황교안, 이천 AI방역 현장 방문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9일 이천시 AI방역현장을 방문, 방역 관계자와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기 전역으로 닭을 유통하는 파주시의 한 도계장과 가축 전염병 청정지대로 여겨지는 광주시의 한 농가에서 연이어 AI가 발생하는 등 도내 전역이 AI 바이러스에 속수무책으로 무너지고 있다.

 

19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 18일 파주시 법원읍의 한 도계장에서 도축 전 닭이 집단 폐사해 간이검사한 결과 AI 양성 반응이 검출됐다.

이 도계장은 이천에서 닭 16만3천 마리를 들여와 지난 15∼16일 이틀간 1만3천 마리를 도내 7개 시ㆍ군, 11개 업체로 출하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15일 도축한 닭을 출하하기 전 검사를 받았으나 음성 반응이 나와 일부를 출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도는 해당 도계장을 폐쇄 조치하고 유통한 닭의 출하 경로를 파악하는 한편 나머지 닭에 대해 전면 살처분 조치를 내렸다. 

앞서 이 도계장은 지난달 26일 AI 의심신고가 접수된 세종시의 산란계 농가로부터 닭 5만 마리를 공급받은 것으로 조사돼 해당 닭을 전량 소각 처리하고 방역 문제로 잠정 폐쇄됐었다. 이후 간이검사에서는 음성으로 판정돼 지난 12일 도계장 영업을 재개했다.

 

지난 2000년대 초 구제역과 AI 등 가축 전염병이 전국을 휩쓸 때도 피해를 면하면서 청정지대로 분류됐던 광주시도 결국 AI 사태를 피해가지 못해 방역 당국이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지난 18일 4만5천여 마리의 산란계를 사육하는 광주시의 한 농가에서 AI 양성반응이 확인됐다. 특히 해당 농가 인근에는 광주시 전체 사육 두수의 70%가량인 44만여 마리를 사육 중인 농가가 위치해 피해가 더욱 확산할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또 이날 37만여 마리의 산란계를 사육하는 평택시의 한 대규모 농가에서도 AI 의심 신고가 접수되면서 도내 전역이 비상에 걸렸다.

 

도 관계자는 “파주시 도계장에서 유통된 닭에 대해서는 경로를 파악해 즉각 회수하는 등 추가 확산 방지를 위해 소독시설 확대 등 추가 방역 대책을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양주시는 AI피해 보상금과 관련, 구제역과 같이 정부가 전액 국비로 보상금을 지원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현재 AI 발생농가에 대한 살처분 보상금은 현재 국비 80%, 도비 10%, 시비 10% 등으로 지원된다. 

양주시 관계자는 “농가들이 많은 피해를 보고 있으나 살처분 보상금은 내년 국비 지원규모가 정해져야 예산에 반영할 수 있어 빨라도 3월 추경에나 가능할 것”이라며 “피해농가와 재정이 열악한 지자체를 위해서라도 전액 국비로 지원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말했다. 

한상훈ㆍ한진경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