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에 생존여부 ‘발등의 불’
상봉 정례화·서신교환 뒤이어
통일부가 22일 발표한 ‘2016 이산가족 실태 조사’에 따르면 국내에 거주하는 이산가족 5만 1천174명 중 표본으로 선정된 6천142명의 76.3%가 이산가족 교류 실태 및 정책 인식에 관한 설문 조사에서 ‘전면적인 생사확인 추진’이 가장 시급하다고 답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통일부, 대한적십자사에 의해 지난 4월1일부터 10월28일까지 약 7개월 동안 진행됐으며, 이산가족의 전면적 생사 확인 등 교류에 대비하기 위한 기본 자료를 정비하고 이산가족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지난 2011년에 이어 두 번째로 실시됐다.
‘전면적 생사확인 추진’에 이어 이산가족들은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10.3%), 남북 간 서신교환 제도 마련(4.0%), 정부 차원의 전화통화 제도 도입 및 활성화(2.9%), 추석 등 정기적인 고향방문 추진(2.6%), 화상상봉 활성화(2.0%), 민간차원의 이산가족 교류 활성화 지원(1.1%)도 시급한 과제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이산가족 교류 및 정책 인식에 관한 설문에서 이산가족들은 민간 차원의 이산가족 상봉 등 민간교류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의견을 나타냈다.
이산가족의 52.4%는 당국 차원의 교류를 우선으로 하되 민간차원의 이산가족 상봉도 허용하는 하는 방법에 긍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또 민간 차원의 이산가족 상봉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방법에도 24.6%에 긍정적인 답변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 차원의 이산가족 상봉을 제한해 당국차원의 교류를 촉진해야 한다는 의견에는 20.9%에 그쳤다.
민간차원의 이산가족 상봉을 원하지 않는 이들은 경제적 부담(36.5%)과 중개인들에 의한 사기 피해 우려(26.3%), 정보 부족(14.9%) 등을 이유로 꼽았다.
또한, 이산가족들은 이산가족의 기록물 수집 보존(39.5%), 이산가족 관련 문화예술 보급(19.2%), 이산가족 위로 행사 확대(14.6%) 등을 통해 정부가 이산가족의 아픔을 위로하고 국민적 관심을 모아주길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남북 이산가족 간 생사 확인, 상봉 교류에 대비해 이산가족 신청서 기재 내용을 정비한 결과 신청자 성별은 남성(66.1%)가 여성 (33.9) 보다 더 높았고 연령대는 80대가 43.9% 가장 많았다.
강해인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