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2월 정기개편 인사 앞두고 고위직 ‘원포인트 인사’ 추진.

인천시의 행정조직 확대 개편 계획에 따라 신년 1월 정기인사가 연기된 가운데 시가 일부 부서에 대한 ‘원포인트 인사’를 단행할 지 관심이 쏠린다.

 

25일 시에 따르면 행정자치부가 특정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춘 ‘전문임기제공무원’제도 입법예고와 인구 300만 돌파에 따른 조직확대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당초 내년 1월 1일자로 시행하기로 했던 정기인사가 내년 2월 이후로 연기됐다. 이에 따라 통상 공직생활 퇴직 1년을 앞두고 단행하는 공로연수 시행시기도 마찬가지로 2월 이후로 연기됐다.

 

이런 가운데 최근들어 교육, 타기관 등으로 파견을 나갔던 소속 공직자들의 복귀 시기가 임박하면서 일부부서 직에 대한 인사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유정복 시장에 대한 내년 업무보고가 마무리된 시점에서 내년 업무를 본격 추진하기 위해서는 신임 인사 등용이 효율적이라는 판단에서다.

 

실제로 시는 이달 초를 전후해 시 본청으로 복귀한 6급 이하 직원에 대해서는 최근 인사를 단행해 업무공백을 최소화했다. 그러나 4급 이상 직원에 대해서만 내년 2월 정기인사 때까지 배치하지 않는 것은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는 내부 불만이 나올 수 있다.

 

또 명예퇴직 등의 요인으로 발생한 일부 직위를 오래 비워두거나 새해업무를 주도적으로 추진해야 할 부서장 인사가 1달이 지난 2월에 단행되면 업무연속성이 떨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 또한 제기되고 있다.

 

이 같은 이유로 시는 정기 인사 전에 일부 부서장들을 교체하는 ‘원포인트 인사’ 단행을 두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여기에는 현재 개방형 직위와 복수로 된 고위직 공무원 임용방안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정기 인사와 고작 1달 차이나는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인사 폭이 좁은 상황상 무리한 인사단행은 적절치 않다는 반론도 높다보니 단순 소폭 인사에 그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정기인사에서 승진자가 대거 나올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보다 다양한 인사요인을 반영하기 유리하다는 이유에서다.

 

이런 가운데 시는 인천교통공사 영업본부장 임용을 위해 지난달 퇴임한 이종철 전 시의회 사무처장(2급)이 최근 인사혁신처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의 취업심사에서 승인을 받지 못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후임 인사에도 골머리를 앓게됐다.

 

지난 6월 이부현 전 남동구 부구청장(2급)에 이어 최근 이 전 처장까지 정부의 취업승인을 받지 못하자 시 산하기관 재취업을 염두에 두고 명예퇴직에 나서던 공직사회 관행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시의 한 관계자는 “원포인트 인사 단행 안을 고민하는 것은 맞지만 대폭 교체 가능성은 낮은 상황으로 유 시장의 의중에 따라 다음주께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