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부장급 11명 중 5명 관피아… 총 연봉 6억 달해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와 경기도과학기술진흥원이 통합 추진 과정에 정년 연장 및 대규모 승진을 검토하는 등 ‘돈 잔치’를 벌이려 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비난(본보 19일자1면)이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예산을 줄이기 위해 ‘관피아’부터 척결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양 기관이 통합하게 되면 통합기관에 근무하는 본부장급 인원 11명 중 5명이 ‘관피아’로 채워지게 된다. 특히 대부분의 관피아가 전문성이 떨어지는 관리직에 배치돼 있어 업무 중복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또 이들에게 지급되는 급여만 한 해 6억 원에 달해 업무가 중복되는 관피아를 줄이고 그 임금을 통합에 필요한 예산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들 급여만 줄어도 신규 인력(연봉 3천만 원) 20여 명을 채용할 수 있다.
25일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경기도과학기술진흥원에 따르면 경기도에서 정년보다 일찍 퇴직한 후 이들 기관에 재취업한 소위 ‘관피아’로 불리는 간부 직원은 총 5명에 달한다.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의 경우 본부장급 직원 5명 중 2명이 ‘관피아’로 지난해 8월과 올해 2월 각각 채용됐다. 경기과학기술진흥원은 본부장급 직원 6명 중 절반인 3명이 ‘관피아’로 지난해 7월ㆍ11월, 올해 7월 차례로 채용됐다.
이들은 모두 자신의 공무원 정년(만 60세)까지는 자리를 보전받는 조건으로 산하기관에 재취업한 것이어서 2년 계약으로 채용, 내년 출범하게 될 통합기관에 모두 함께 근무하게 된다.
결국 경기중기센터와 과기원이 통합해 출범하는 ‘경기경제과학진흥원’은 본부장급 직원 11명 중 절반가량이(5명) 관피아로 채워지는 기형적 구조를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기관 안팎에서는 이번 기회에 관피아를 척결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먼저 공공기관 통폐합의 명분이 ‘효율화’인 만큼 현재 대부분 관리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관피아를 정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당장 양 기관의 ‘경영관리본부장 은 직무는 물론 직함까지 똑같다.
또 이들 관피아들이 지급 받는 급여를 보면 연봉만 평균 약 1억원에 달하고 매달 70만 원 가량의 업무추진비도 지급되는 등 총 6억 원에 가까운 돈을 지급받고 있어 이들을 정리해 예산도 줄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경기도가 양 기관의 통합에 따른 인건비 상승분으로 추정하고 있는 예산은 약 6억 원으로, 관피아를 정리하면 예산을 추가로 들이지 않고도 인건비 상승분을 충당할 수도 있다.
여기에 관피아의 주된 업무가 경기도와의 소통ㆍ협상인데 경기도와 경기도의회에서 추진된 공공기관 통폐합을 제대로 대처하지 못해 기관이 통폐합되는 운명에 놓이면서 관피아를 바라보는 내부의 눈빛도 싸늘해 지고 있다.
A기관의 한 직원은 “관피아들이 기관을 위해 어떠한 일을 했나 생각해 봐야 한다. 기관이 이들을 채용한 가장 큰 이유는 경기도 및 도의회와의 소통인데 결국 기관의 입장이 잘 전달되지 않으면서 통폐합까지 하게 된 것 아니냐”며 “기관을 통폐합하는 명분이 ‘효율화’인 만큼 관리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관피아부터 정리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기도 관계자는 “통합기관의 간부 직원 중 상당수가 퇴직 공무원들로 채워지게 돼 자칫 도민들에게 좋지 않게 비춰질 수 있다”며 “기관 통합 과정에서 공무원 출신 간부직원들에 대한 문제도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