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복 시장, 첫 공식 사과… “개헌 통해 정치 폐단 없애야”
유정복 인천시장이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와 관련해 책임을 통감하고 죄송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유 시장이 이번 사태와 관련해 시민에게 공식 사과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 정국에 대해서는 분권형 권력구조로의 개헌이 필요한 시기라고 제안했다.
유 시장은 26일 가진 지역 언론과의 공동 신년 인터뷰에서 “박근혜 정부에서 장관직 등 중심적인 역할을 한 정치인으로 이번 사태에 대한 책임을 통감하고 고통받는 시민에게 진심으로 죄송 스럽다”고 공식적으로 사과했다.
그는 이어 “(내가)친박 정치인으로 분류되는 것에 대해서는 당연한 것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새누리당을 탈당할 계획은 현재로서는 없다”라며“하지만 박 대통령 주변의 모든 세력에게 메카니즘식으로 비난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다”라고 밝혔다.
시장 재선과 대선 출마 가능성에 대해서는 “미래의 정치적 환경에 대해서는 예측할 수 없는 만큼 지금 입장을 밝히기 어렵다”라며“현재 정국에서는 하고 싶은 말을 하기 어렵고 한계가 있지만, 정치적 입장을 밝혀야 할 시점이 오면 밝히겠다”고 말했다.
유 시장의 이 같은 입장은 우선 반성하는 모습을 보이고, 반기문 UN사무총장의 입국으로 친박과 비박으로 분리된 혼란 정국이 정리되는 상황을 살펴본 뒤 정치적 방향을 결정하겠다는 뜻으로 분석된다.
유 시장은 개헌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혼란스러운 정국은 정치가 국민의 기대치에 못미치기 때문에 생긴 일인 만큼 정치 개혁을 해야 할 시기기 온 것”이라며 “독점형 권력구조에서 의원내각제나 이원집권제 등의 분권형 권력구조로의 개헌을 통해 정치적 폐단을 없애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국민은 개헌 등 정치적 여건 변화가 생겨도 충분히 적용 할 만큼 성숙돼 있다”고 덧붙였다.
유 시장은 지난 시장선거의 당선 캐치프레이즈 였던 ‘힘있는 시장’의 쇠퇴론에 대해“‘힘 있는 시장’ 이라는 것이 박 대통령의 힘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정부와 시장의 총체적인 역량이 더 중요하다 ”라며”내항재개발 문제 등 정부와 관련된 현안사업들이 (내가 가진 정부와의)네트워크를 통해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유 시장은 취임 이후 보람된 일로는 재정건전화(2년 간 채무 2조 상환)와 인천발 KTX실현을 꼽았으며, 아쉬운 점으로는 제3연육교 사업 지연과, 검단스마트시티 개발사업 무산 등을 지적했다.
유제홍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