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농가 피해 확산 우려… 市 “예비비 투입 초기 진화 총력”
인천지역 가금류 농가에서 사상 최초로 조류인플루엔자(AI) 확진 판정이 나옴에 따라, 시가 방역활동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소규모 농가를 중심으로 피해가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여, 예방적 도태(살처분)를 위한 예비비 투입 등 초기 진화에 적극 나선다는 계획이다.
29일 시에 따르면 농림축산검역본부가 지난 26일 AI 양성반응을 보인 서구 공촌동의 폐사 닭에 대해 고병원성 AI(H5N6형)확진 판정을 내렸다.
시는 이에 따라 해당 가금류 농가의 토종닭 25마리는 물론, 반경 3㎞ 이내의 17개 농가 416마리의 조류를 즉각 살처분 조치했다.
인천지역에서는 지난 2014년 옹진군 영흥도의 기러기 사체에서 AI가 발견된 적은 있지만, 사육농가에서 AI가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이번 AI 발생이 10~50㎡ 이하 규모이면서 가금류 수가 100마리 이하인 소규모 영세농가에서 발생함에 따라 살처분을 전제로 소규모 농가 수 파악에 나섰다. 소규모 농가들은 현행법상 지자체 등록대상이 아니다 보니 일반적인 비닐하우스에서 사육하는 등 방역에 취약하다는 판단에 따른 조처다.
일단 시는 279곳 6천여 마리의 소규모 농가를 확인하고 해당 가금류를 전량 수매할 계획이다. 시는 또 소규모 농가 추가 파악을 위해 2차 조사를 진행 중이다. 이번 조사에서는 살처분을 위한 가금류 수매와 주변 농가에 대한 조사를 동시에 시행해 농가와 가금류를 빈틈없이 찾아낼 계획이다.
기존에 확인된 소규모 농가의 가금류와 추가로 찾게 될 가금류에 대해서는 AI를 예방하는 차원에서 수매 후 살처분하게 된다. 시는 이를 위해 예비비 1억원을 편성했지만 모두 소진할 것으로 예상해, 1~2억원의 예비비 추가 편성에 나서기로 했다.
인천지역 최대 가금류 사육농가이자 아직 청정지역을 유지하고 있는 강화지역 사수책도 강화된다.
시는 현재 소독시설이 운영 중인 강화대교와 초지대교에 각각 1곳의 소독시설을 추가 설치한다. 이번에 추가되는 시설은 U자형 소독기로, 시설 양쪽의 벽체에서 소독약을 뿜어, 지나가는 차량의 전신소독이 가능하다.
또 전성수 행정부시장은 매일 오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주재하는 AI 일일점검 영상회의에 참여한 뒤, 군·구 영상회의를 추가 진행하는 등 타 지자체의 AI 관련 상황도 주시하고 있다.
주 2~3회 실시하던 농가 소독도 매일 1회로 강화된다. 소독은 소규모 농가와 철새도래지, 도계장 인근 등 인천에서 상대적으로 방역이 취약하다고 꼽히는 곳에 집중된다.
시의 한 관계자는 “인천지역 농가에서 AI가 최초 발병한 만큼, 방역지역을 중심으로 꾸준한 예찰에 나서겠다”며 “특히 소규모 농가를 철저히 감시하고, 농가가 몰려 있는 강화지역에 AI가 전염되지 않도록 방역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지난달 26일 AI 의심신고가 접수된 서구지역을 중심으로 방역 강화를 실시, 추가 확산 예방에 주력하고 있다. 시는 서구지역의 24시간 이동통제초소를 2곳에서 4곳으로 늘렸다. 또 정부 방침에 따라 AI 발생농가 반경 3㎞까지만 살처분을 진행하면 됨에도, 옹진군을 제외한 9개 지역 소규모 농가 가금류 전부를 예방적 살처분 대상으로 정하기도 했다.
박연선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