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윤재군·윤태길 등 물망
더민주 김시화·오수봉 동분서주
국민의당은 유형욱 단독 거명
오는 4월 12일 시행되는 하남시장 보궐선거의 막이 서서히 오르고 있다. 하남시 선관위는 지난 해 12월 8일 하남시장 보궐선거에 따른 입후보예정자 등을 대상으로 한 등록안내 설명회를 여는가 하면 지난해 12월 30일 예비후보자 등록을 시작했다.
앞서, 대법원1부(주심 김소영 대법관)는 지난해 10월 27일 자신의 선거법 위반 혐의를 숨기기 위해 지지자에게 허위 진술을 하도록 한 혐의(범인도피교사)로 기소된 더불어민주당 소속 이교범 하남시장(65)의 상고심에서 징역 8개월에 집행유예 2년 등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 이날 판결로 이 시장은 시장직을 잃었다. 보궐선거 대상은 지난해 3월 15일부터 오는 3월 13일까지 당선자의 당선무효나 사망, 사직 등으로 실시사유가 확정된 지역이다.
이번 하남시장 보궐선거는 대통령 탄핵정국 사태와 맞물려 주목ㆍ무게감은 애초 예상보다 떨어지겠지만, 하남시정을 이끌 최종 ‘승리자’가 누가 될 것인지에 대한 시민들의 기대감은 서서히 고조되고 있는 형국이다. 지난해 12월 8일 열린 설명회에는 새누리당 소속 출마예정자가 6명, 더불어민주당은 4명, 국민의당 1명 등 모두 11명이 참석,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다.
여기에 (설명회에) 참석하지는 않았지만, 추후 여론 등을 저울질한 후 선거판에 뛰어들 출마예상자들도 1~2명 정도 더 있는 것으로 알려져 현재 최종 후보군이 확정됐다고는 단정할 수 없다.
예비후보자 등록 첫 날인 지난해 12월 30일 새누리당 소속 유병훈ㆍ유성근씨 단 2명만 예비후보 등록을 마쳐 초반 선거분위기는 후보자와 유권자 모두 냉랭한 분위기다.
특히, 이번 보궐선거를 준비해 온 중량감 있는 출마예정자 3~4명이 정치자금법 위반 등의 실형이 확정되거나 검찰 수사가 강도 높게 진행되면서 피선거권을 상실한 점도 냉랭한 선거분위기에 한몫했다는 후문이다. 게다가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탄핵정국과 차기 대선에 관심이 쏠리면서 상대적으로 보궐선거에 대한 관심이 저조하다는 게 지역정가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더욱이 더불어민주당 출신 이교범 전 시장의 시장직 상실 때만 해도 새누리당 우세 속에 선거전이 펼쳐질 것으로 예상됐지만, 최순실 국정농단 파문과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등으로 어느 당이 우세하다고 점칠 수 없는 형국으로 치닫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 보궐선거는 이 전 시장의 시장직 상실에 따른 지역 민주당(개혁)의 ‘책임심판’과 최순실 국정농단 파문의 따른 새누리당(보수)의 ‘국정책임 심판’이 표심으로 이어져 최종 결과로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더불어민주당이 지난 2015년 7월 개정한 당헌 제112조(재ㆍ보궐선거에 대한 특례)에 따라 ‘당 소속 선출직 공직자가 부정부패 사건 등 중대한 잘못으로 그 직위를 상실해 재ㆍ보궐선거를 시행하게 된 경우, 해당 선거구에 후보자를 추천하지 않는다’는 규정을 당론으로 결정한 바 있어 액면 그대로 보자면 후보를 낼 수 없는 상황이 가장 큰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제도권 안팎의 인물들이 후보군을 형성하고 있다. 현직이라는 프리미엄을 갖고 있는 예상 출마자는 윤재군 하남시의회 의장(2선)과 윤태길 경기도의원(2선) 등이 거론되고 있다. 여기에 유성근 전 국회의원(16대)과 윤완채 전 하남시장 후보(전 도의원), 임문택 전 하남시의회 부의장(2선), 유병훈 전 하남단위농협조합장 등이 지역 내 각종 행사장을 돌며 발품을 팔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역시 현 제도권 안팎 인물들로 구성돼 있다. 현직 프리미엄을 쥐고 있는 인물은 지역위원회 지휘봉을 잡고 있는 김시화 위원장(전 하남도시공사 사장)과 오수봉 현 하남시의원(2선) 등이 지역을 동분서주하고 있다. 여기에 김상호 우상호 원내대표 정책특보와 곽춘호 전 문학진 국회의원 비서 등이 출사의사를 비추고 주민들과 접촉의 폭을 넓히고 있다.
국민의당은 유형욱 지역위원장(전 경기도의회 의장)이 단독 거명되고 있다. 경기도의회 3선 의원으로 의장까지 지낸 유 위원장은 지난 20대 총선에 출마해 하남지역에서 국민의 당 뿌리를 내리는데 기여한 장본인이다.
하남=강영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