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수출 주력 품목인 반도체 D램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반도체 시장을 주도하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연일 함박 웃음이다.
5일 반도체 업계와 시장조사기관인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D램 가격의 판단 기준이 되는 ‘PC용 D램 DDR3 4GB(기가바이트) 모듈(현물)’이 25달러를 돌파했다. 지난해 11월 거래가격인 18달러 보다 39%가량 급등했다. 더욱이 D램익스체인지는 이번 1분기에 PC D램 평균 계약가격이 30% 이상 추가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서버용 D램은 이번 1분기에 PC용 D램보다는 낮은 수준이지만 25~30% 정도의 가격 상승폭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 스마트폰 등에 쓰이는 모바일 D램은 10~15%가량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이런 가격 전망에 대해 “D램 모듈의 대세는 DDR3에서 DDR4로 전환했고 용량도 4GB에서 8GB로 커지고 있지만, 가격은 여러 제품이 동조화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최고 30%가량 가격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은 유효하다”고 말했다.
전 세계 D램 시장의 확고한 점유율을 가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어닝시즌(실적 발표 시기)을 앞두고 즐거운 비명을 질러야 할 판이다.
삼성전자는 50%, SK하이닉스는 25% 안팎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다. 4분기에서 1분기로 전환하는 시기에 이같이 가격이 급등함에 따라 양사의 실적이 크게 호전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6일 발표하는 2016년 4분기 잠정 실적에서 반도체 부문에서만 4조5천억 원 안팎의 영업이익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전년 4분기(2조8천억 원)와 비교해 60%가량 증가한 수치다.
SK하이닉스도 작년 4분기에 1조2천 억~1조3천800억 원의 영업이익을 올린 것으로 증권가에서는 추정했다. SK하이닉스의 분기 실적도 직전 분기(7천200억 원)와 비교하면 50% 가까이 늘어나는 것이다. 조사기관인 D램익스체인지는 “비수기로서는 역대 최고 상승률을 기록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유선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