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公, 해외 자원개발 무리수 ‘빚더미’… 경영평가 낙제점

예선업 갑질·청렴도 논란 이어 지난해 발표 공공기관 평가 ‘D’ 초라한 성적
경영 정상화 자구노력 없이 해외투자 ‘가속’ 우려… 미수금 회수도 불투명

예선업 선정과정의 갑질논란, 청렴도 심각(본보 1월 13일자 8면) 등으로 눈총을 받고 있는 한국가스공사가 무리한 자원개발 확대로 후유증을 앓고 있다. 빚은 계속해 늘어나고, 경영지표는 바닥을 기고 있다. 하지만 이런 방만 경영에 종지부를 찍겠다던 이승훈 사장의 공언도 사실상 동력을 잃은 모양새다.

 

15일 한국가스공사 등에 따르면 공사는 지난해 발표된 2015년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에서 낙제점인 D등급을 받았다. D등급을 받은 기관과 상임이사는 경고 조치를 받았지만, 가스공사의 경우 이승훈 사장이 취임 6개월째라는 점이 참작돼 대상에서 겨우 면제됐다. 하지만 무리한 해외자원개발 등으로 부채가 늘어난 탓에 당분간 낙제점을 면하긴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다.

 

가스공사는 1997년부터 30개 해외사업에 11조 554억 원을 투자했다. 이 가운데 2조 1천792억 원을 회수했고, 9천494억 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지난 2015년에도 해외 자원개발을 위해 설립된 41개 가스공사 자회사가 기록한 당기순손실 규모는 7천663억 원이었다. 해외 자회사 41곳 가운데 매출이 전혀 없는 곳은 18개였고, 24곳은 당기순손실을 냈다. 결국 무분별하게 추진된 해외자원개발 사업은 막대한 이자비용을 발생했고, 이는 가뜩이나 궁핍한 살림을 더욱 쪼들리게 만들었다.

 

현재 가스공사 총부채는 26조 원에 이르고 있다. 부채율은 297%에 달해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자구 노력과 경영 정상화 대책이 절실한 실정이다. 때문에 해외사업 계획 변경 등의 미온적 자구책 보다는 과감한 구조조정을 통해 더 이상의 국부 유출을 막아야 한다는 지적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가스공사는 앞으로 해외사업에 6조 5천334억 원을 더 투자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져 논란은 가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게다가 미수금 회수 또한 지난해 1분기 미수금 7천975억 원을 회수한데 이어 올 상반기까지 남아있는 미수금 1조 8천750억 원을 전액 회수할 계획이지만 유가·환율 등 불안한 대외여건에 편승, 계획 달성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스공사 한 관계자는 “해외사업의 경우 실제 투자액회수는 2018년 이후에나 가능할 것 같다”며 “그때까지 좋은 점수를 받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여진다”고 말했다.

조성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