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중기청, 올해 ‘바우처’ 방식 도입해 지역 중소기업 수출 지원한다

인천지방중소기업청이 올해 정부에서 새롭게 도입한 ‘수출바우처 사업’을 적용해 지역 중소기업 발전을 돕는다.

 

18일 인천중기청 등에 따르면 수출바우처 사업은 수출 전 과정을 8단계·40여 개 프로그램으로 나눠 기업 실정에 맞춰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지원금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다.

 

정부는 그동안 각 부처와 사업별로 지원 프로그램이 다르고, 지원 한도가 정해져 있던 것을 ‘통합 메뉴판’을 마련해 기업에게 선택권을 높였다.

 

예를 들어 놀이공원에 가서 롤러코스터를 탈 때 롤러코스터 입장권을 사는 게 아니라 자유이용권을 구입해 자신이 타고 싶은 놀이기구를 고르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올해 1천726억 원을 들여 1만여 개의 중소기업을 돕겠다는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기업청은 KOTRA와 중소기업진흥공단, 지방중기청에 바우처 자금을 지급하면, 중소기업은 지원금을 홍보사업에 쓸 것인지, 전시회 참가에 쓸지 자유롭게 고를 수 있다.

 

정부는 그동안 시행하던 수출 역량 강화사업도 이름을 ‘수출 성공패키지’로 바꾸고 바우처 제도를 도입해 부처별·사업별 지원 프로그램과 지원 한도 한계를 없앤다는 방침이다.

 

인천중기청은 오는 19일 대강당에서 ‘중소기업 수출 지원시책 설명회’를 갖고 수출바우처 제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할 계획이다.

 

인천중기청 관계자는 “예전에는 원하지 않았던 사업계획이나 지원금을 받으면 정해진 용도에 따라서만 써야 했다”며 “바우처 제도 도입으로 지역 기업들이 맞춤형 지원을 받아 역량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덕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