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경기·부동산 침체 악재속
지방소득세 무려 640억원 증가
추진단 구성 집중 관리도 한몫
인천시가 지난해 역대 최다인 3조2천517억원의 지방세를 징수했다.
23일 시에 따르면 지난해 시의 주요 자치세입원으로 꼽히는 지방세 징수액은 3조2천517억원으로 집계됐다. 인천시 개청 이래 3조원이 넘는 지방세를 거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시는 내수경기의 미진한 회복, 부동산경기 침체 등 저성장 구조에도, 사상 최대규모 지방세 징수 원인을 급격한 지역사회 성장으로 꼽았다. 실제로 인천지역은 지난해 2월 수인선 연장사업 개통, 7월 인천도시철도 2호선 개통 등 철도 인프라가 대거 확충된데다, 포스코대우 등 대기업들의 인천 전입, 10월 인구 300만명 돌파 등 긍정적 요인이 많았다.
주요 세목별 증가원인을 분석하면 지방소득세가 640억원 증가로 가장 높았으며, 자동차세 514억원 증가, 담배소비세 407억원 증가, 부동산 등의 취득세 202억원 증가 등이 뒤를 이었다. 이와 함께 지방교육세와 지역자원시설세 등도 세원 증가에 한 몫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시는 그동안 10개 군·구와 합동으로 ‘지방세 징수율 제고 추진단’을 구성해 징수율을 높이고 체납액을 줄이는 자체노력을 강화해왔다. 취득세 등 주요 세목들을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반송분 고지서 관리 등 그동안 미흡했던 항목을 개선하는데 주력했다.
또 시와 군·구 세무부서 담당직원들을 중심으로 TF팀을 꾸려 정기적인 회의를 통해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토론해왔다. 그 결과를 토대로 효율적인 징수대책을 마련해왔으며, 고질적이거나 상습적인 체납자들에 대한 징수활동도 병행해왔다.
아울러 전자납부와 신용카드 자동이체, 폰뱅킹 등 다양한 납부방식을 도입해 편리한 납세방식을 꾸준히 적용해왔으며, 시민들에게 부담을 주지 않은 지역자원시살세 과세대상 확대 등 신세원 발굴과 기존 지방세 감면규모 축소 정책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시의 한 관계자는 “올해도 지방세 세입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다양한 분야의 시정 핵심과제 추진에 필요한 세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겠다”며 “특히 2018년 재정정상단체 전환의 원동력이 되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박연선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