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1일 대선 불출마를 선언, 국민의당과 손학규 국민주권개혁회의 의장, 정운찬 전 국무총리 간의 ‘제3지대’ 정계개편론이 탄력을 받을지 주목된다.
국민의당, 손 의장, 정 전 총리의 통합론이 급물살을 타고 있는 데다 반 전 총장의 중도 포기까지 겹치면서 이달 말로 점쳐지던 연대가 앞당겨질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손 의장은 국민의당 박지원 대표와 만나 많은 교감을 이뤘고, 정 전 총리는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를 만나 정책적 가치에 의견접근을 이룬 바 있다.
일단 국민의당과 손 의장은 반 전 총장의 불출마에 대한 무심한 듯한 태도를 보이며 속도조절을 하는 분위기다. 국민의당 박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지금 플러스 마이너스를 따질 필요가 없다”면서 “국민 편에 서서 국민과 함께 가면 된다”고 말했다.
손 의장도 한 방송 인터뷰에서 “국민의당 합류보다 개혁세력을 어떻게 크게 모으느냐가 과제”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국민의당과 손 의장 측은 이번 대선이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 대 ‘야권 연대를 통한 후보’의 대결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은 통합 및 연대 과정에서 국민적 공감대를 얻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박 대표는 “우리 바람은 빨리 (통합 및 연대를) 해서 비전을 제시하고 경쟁도 하고 때로는 박치기도 하는 다이나믹하고 드라마틱한 모습이 나왔으면 한다”고 말했다.
다만 각자의 속내가 복잡한 만큼 조속한 시일 내 합의점을 찾을지는 미지수다. 이와 관련, 경선 룰의 정리가 통합 및 연대의 최대 변수가 될 전망이다. 정 전 총리는 완전국민경선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놓은 반면, 손 의장 측은 아직 말을 아끼고 있다.
반 전 총장과의 연대에 부정적이었던 민주당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 대표가 대표 주자로 나설 가능성도 있다. 국민의당은 김 전 대표와도 함께할 수도 있다는 입장이지만, 아직 김 전 대표 측에선 이를 일축하고 있다.
강해인·송우일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