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 보안구멍… 검색실패·미적발 5년간 24건

과도·접이식 칼 등 보호구역내 발견
중국인 출국장 출입문 부수고 밀입국
정신이상자 버젓이 보안검색대 통과

인천국제공항에서 보안검색에 실패하거나 적발되지 않은 건수가 최근 5년간 20여 건에 달해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6일 홍철호 바른정당 국회의원(경기김포을)이 인천국제공항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최근 5년간 인천공항의 보안검색 실패·미적발 건수가 최근 5년간 24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행 항공보안법에 따르면, 비행기에 탑승하려는 사람은 신체, 휴대물품 및 위탁수하물에 대한 보안검색을 거쳐야 하며, 보안검색을 실패하면 이를 국토교통부에 보고하게 돼 있다.

 

공사는 지난 2012년 10건, 2013년 4건, 2014년 3건, 2015년 3건, 지난해 4건의 실패·미적발 사례를 보고했다.

 

주요 사례를 살펴보면, 보안검색을 마친 ‘공항시설 보호구역’에는 위해물품을 반입해선 안되지만, 지난해 10월5일과 11월9일에 각각 과도와 접이식칼이 보호구역 내에서 발견된 것으로 밝혀졌다.

 

발견된 물품은 합동조사단 조사 이후 폭발물처리반(EOD)이 회수했다.

또 지난해 1월21일 중국인 환승객 2명이 출국장 출입문을 훼손한 뒤 밀입국했다 검거됐고, 지난 2012년 12월에는 몽골인 1명이 환승라운지 펜스를 부순 뒤 탈주한 바 있다.

 

지난 2014년 6월과 2013년 1월에는 정신이상자가 보안검색대를 통과했으며, 지난 2015년 1월에는 다른 사람의 탑승권을 가진 사람이 출국장에 진입하기도 했다.

 

이처럼 인천공항의 보안검색이 허술한 이유로 보안업무 인력이 부족하고, 보안검색 업무를 용역업체가 맡고 있는 점 등이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일각에서는 국민안전처에 인천공항 등 항공 안전을 전담하는 인력이 전무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와 관련, 홍철호 의원은 “우선 보안업무 인력을 증원하고 처우를 개선해야 한다”며 “항공 안전 업무를 국토교통부와 인천공항이 전담하는 것은 조직·시스템적으로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안전의 컨트롤타워인 국민안전처가 항공안전 제도와 정책 평가를 한 뒤 대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며 “국민안전처에 인천공항 등 항공안전 전담 부서·인력을 신설하고, 국토부와 인천공항이 적극 공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덕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