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내서 친박계 중심 비판 제기
새누리당이 사실상 박근혜 대통령의 자진탈당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져 당청 충돌·계파갈등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박 대통령 자진탈당’ 카드로 관계를 정리하고 인적청산을 마무리하겠다는 의도로 해석되지만 청와대의 분위기는 부정적인 것으로 전해졌으며, 당내에서조차 비판이 제기됐다.
7일 새누리당에 따르면 정우택 원내대표는 지난달 말 한광옥 청와대 비서실장을 만나 박 대통령 자진탈당 문제에 대한 당의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박 대통령이 자진 탈당을 결심하지 않으면 당에서 인위적으로 탈당시키거나 제명하지 않겠다는 원칙을 정했다“면서 ”당에서 그렇게 원칙을 정했다는 것을 청와대에 전달한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정 원내대표는 “당의 결정사항을 말씀드리러 간 것이지 탈당을 권유하거나 강제한 것은 아니다“고 해명했다.
그는 특히 ”청와대는 알아서 결정하겠다고 했기 때문에 언제 될지, 실행될지는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은 오전 KBS라디오 ‘안녕하십니까 윤준호입니다’에 출연, ‘당 지도부가 지난달 말 청와대 측에 대통령 탈당 권유를 했다’는 일부 언론 보도에 대해 “어제 저녁에 그 말을 듣고 깜짝 놀랐다”고 목청을 높였다.
인 비대위원장은 이어 “제가 아는 한 지도부의 그 어떤 사람도 그런 말을 한 적이 없는 걸로 알고 있다”고 말해 정 원내대표와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
청와대는 한마디로 ‘지금은 탈당 얘기를 한 단계가 아니다’라며 부정적인 분위기를 보였다.
특검의 수사와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당적 문제에 신경을 쓸 겨를이 없다는 것이다.
당내에서도 친박(친 박근혜)계를 중심으로 지도부에 대한 비판이 제기됐다.
한 친박계 의원은 “헌재의 탄핵심판 결정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이런 얘기가 나오는 것은 맞지 않다”고 불만을 피력했다.
대선주자인 이인제 전 경기지사는 YTN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에 나와 “참 비겁한 행동”이라고 당 지도부를 비난한 뒤 “눈 가리고 아웅 하는 것이다. 대통령과 영광도, 오욕도 함께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자 김명연 수석대변인(안산 단원갑)은 브리핑을 통해 “당 윤리위는 박 대통령에 대한 징계는 탄핵이 결정될 때까지 보류한다는 원칙을 이미 정했으며, 이것이 당의 공식 당론이다”면서 “이 원칙은 지금까지도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김재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