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개성공단 비상대책위원회가 공단 입주기업 123개사(유효 회신 84개)를 대상으로 한 ‘개성공단 입주기업 현황과 요구 사항’ 조사보고서에서 제시됐다.
지난해 2월 10일 개성공단 폐쇄 후 1년간 손실액은 응답한 74개 기업 중 절반(37개사)이 10억 원 미만이었다. 24.3%(18개사)는 10억∼20억 원 사이의 손실을 봤다고 답했고, 50억 원 이상의 손실을 봤다고 응답한 기업도 5개사(6.8%)에 달했다. 협회는 입주기업 전체로 환산하면 2천500억 원 내외일 것으로 추정했다.
협회는 “자산 손실을 제외한 순수 영업 손실도 명백한 피해이지만, 정부는 기대 이익으로 추정하기 곤란하다며 보상할 때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협회 측은 투자자산ㆍ유동자산ㆍ위약금ㆍ개성 현지미수금ㆍ영업손실ㆍ영업권 상실 피해 등을 종합한 결과, 입주기업의 실질 피해가 1조 5천억 원을 넘는다고 밝힌 바 있다.
2015년 대비 지난해 매출이 감소한 기업은 응답한 80개사 중 87.2%에 달했다. 평균 31.4%의 매출이 급감했고, 10개사는 매출이 80% 이상 급감했다고 답했다. 매출이 증가한 11개사는 개성공단 생산 비중이 작았던 기업이거나 국내외 대체생산시설, 재하도급으로 손실을 보면서도 매출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한 결과로 추정된다.
개성공단이 재개되면, 기업의 67%(56개사)는 재입주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반면 7%(3개사)의 입주기업들은 개성공단이 재개되더라도 재입주가 힘들거나, 거의 불가능할 것이라고 답했다. 26%(22개사)의 기업은 상황을 보고 판단하겠다는 뜻을 표명했다. 상황을 보고 판단하겠다는 기업과 재입주 불가 뜻을 밝힌 기업들(25개사)은 그 이유로 재개 시 가중되는 기업 부담(11개사ㆍ44%)과 다시 닫힐 수 있는 경영환경(11개사ㆍ44%)을 꼽았다.
재입주를 원하는 이유는 개성공단의 인건비 대비 높은 생산성, 낮은 물류비, 숙련노동자 등 국내외 대비 경쟁력 있는 경영환경 때문(81%)이라는 응답이 압도적이었다. 응답한 82개 기업의 84%는 개성공단이 1∼2년 내 재개될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63%의 기업들은 공단 재개 시 경협 보험ㆍ지원금 반납이 부담돼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회는 “3분의 1에 불과한 무이자 대출 성격의 정부 지원금으로는 기업 경영 정상화를 할 수 없다”며 “정부는 ‘보상특별법’ 등을 제정해 실질피해를 보전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