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축산물 유통대란’ 위기

구제역 확산 ‘이동제한’ 연장 경기지역 도축물량 반입 제한
소·돼지고기 수급 꽁꽁 비상 가공업체 등 생산차질 후폭풍

정부가 구제역 확산에 따른 생축(살아있는 가축) 구제역 이동제한 기간을 연장하면서 인천지역 소·돼지고기 유통에 비상이 걸렸다.

 

12일 지역 축산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 10일 인천축산물도매시장에서는 1㎏당 4천 원 중반 정도에 형성되던 경매단가가 하루 새 700~800원이나 급증했다.

 

지난 9일 오후 6시부터 정부가 내린 구제역 이동제한 조치를 내리면서 도축 물량이 줄어 경매가가 오른 것이다.

 

하루에 평균 소 50~60두, 돼지 1천600두를 도축하던 인천 십정동 도축장은 이동제한 조치 이후 소는 10여 두, 돼지는 1천~1천200두로 도축 예정 물량이 줄었다. 여기에 정부가 12일 이동제한 조치를 당초 15일에서 19일까지 연장하면서 인천지역 소고기와 돼지고기 공급에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경기도에서 도축 물량의 80~90%를 공급받던 인천 도축장은 경기도와 인천 간 이동제한 조치만이라도 풀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인천 도축장을 운영하는 삼성식품㈜ 관계자는 “사실상 ‘한 지역이나 다름없는 인천과 경기도를 이동제한 조치를 풀어야 한다’고 건의했는데 답변이 없다”고 하소연했다.

 

지역 축산물 가공·유통업체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소나 돼지를 직접 도축하지 못하면 타지역에서 직접 구입해 일반 정육점이나 식당에 공급하는 수밖에 없는데, 경기도의 사육두수가 많지 않기 때문에 충청도나 강원도까지 가서 구입해야 할 처지다.

 

지역 한 식육포장처리업자는 “지방까지 내려가 고기를 사면 교통비와 인건비가 더 들어 도매단가도 올라갈 뿐만 아니라, 납품기일을 맞추지 못하면 거래처와 소송으로 이어질 수도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동제한 조치 구역 변경은 해당 시도에서 건의가 들어오면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구제역 유입을 막아야 하는 입장인 인천시는 경기도와 이동제한 조치 해제 여부에 대해 회의적이다.

 

시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구제역이 인천까지 퍼지지 않게 막는 것이 급선무”라며 “경기도 간 이동제한 해제 건의는 추후 상황을 지켜보고 판단할 방침”이라고 했다.

 

김덕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