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 장기화 ‘먹구름’ 제조업 취업자수 ‘뚝’

고용보험피보험자 작년比 1천100명↓ 구조조정 등 ‘이중고’… 2개월째 감소
은행·증권 등 ‘금융보험’도 2만7천명↓ 고용 악화… 11개월 만에 ‘마이너스’

제목 없음-1 사본.jpg
극심한 경기침체와 구조조정 탓에 제조업 취업자 수가 2개월 연속 줄었다. 금융보험업은 1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13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올해 1월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제조업 상시근로자 고용보험 피보험자(취업자)는 357만 5천 명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천100명 줄어들었다.

 

제조업은 피보험자 규모가 가장 크다. 업종 중 취업자 수가 가장 큰 제조업은 지난해 12월에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00명 줄어든 바 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10월(-8천 명) 이후 7년 2개월 만에 처음이었다. 

고용부 관계자는 “최근 수출이 회복되고 있지만, 경기침체 장기화와 구조조정 영향으로 노동시장 상황이 나빠지고 있다”며 “조선·전자통신·전기·철강 등 중심으로 글로벌 경쟁이 심화하고 있는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선박·철도·항공장비 등을 생산하는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은 선박수주량 감소 등 경기악화로 3만 5천 명 줄었다. ‘전자부품·컴퓨터·통신장비 제조업’(-11만 5천 명)은 2014년 1월 이후 37개월째 감소했다. 

식품·화학제품 제조업 등에서는 피보험자가 계속 늘어났지만 증가 폭이 다소 둔화했다. 다만, 식품제조업 취업자는 12만 4천 명 증가했다. 1인 가구와 여성 경제활동 참여 확대에 따른 간편식 생산확대와 수출 증가 등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된다. 

피보험자 증가율은 숙박음식업이 9.7%로 가장 높았고, 이어 예술·스포츠·여가관련 서비스업(7.1%), 연구개발·법무·기술·엔지니어링 등을 포함하는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5.6%) 등 순이다.

 

은행, 증권, 연금·보험 및 관련서비스업을 포함하는 ‘금융보험업’ 취업자는 45만 9천 명으로 전년보다 2만 7천 명 줄어 11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피보험자 규모는 계절적 영향 등으로 전월에 비해 낮아졌다. 증가 규모(28만 9천 명)도 전년 같은 기간(44만 1천 명)보다 크게 밑돌았다. 2016년 9월 이후 4개월째 20만 명대의 낮은 증가 폭이 이어지고 있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최근 수출이 회복되고 있지만, 경기침체 장기화와 구조조정 영향으로 노동시장 상황이 나빠지고 있다”며 “따라서 제조업분야에서 고용이 과거와 같은 증가세를 보이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정자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