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30만 TEU 더 증가
지난해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이 12.7%나 비약적으로 증가한 요인은 부두시설 공급 확대와 한ㆍ중, 한ㆍ베트남 FTA체결에 따른 교역량증가 등의 결과인 것으로 분석됐다.
인천항만공사(IPA)가 이달초 발표한 ‘2016년도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 요인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은 전년 대비 12.7% 증가하며 사상 최대치인 268만 TEU를 기록했다.
IPA는 15일 이같은 물동량 증가 원인은 2015년부터 순차적으로 인천신항을 개장해 부족했던 부두시설을 공급하고 2015년 12월 동시 발효된 한·중 및 한·베트남 FTA로 인한 교역증가 효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인천항이 가장 높은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를 보인 것은 32만 TEU가 증가한 2010년이었다. 그러나 이같은 증가는 2009년 세계 금융위기에 따른 기저효과가 원인이었으므로 2016년에 보인 물동량 증가는 더욱 의의가 크다는 게 IPA측의 진단이다. 특히 지난해 급증한 물동량의 대부분은 대 중국 및 베트남 물동량으로 나타났다.
인천신항 개장 전, 인천항은 급증하는 물동량에 비해 턱없이 낮은 컨테이너 하역능력으로 고질적인 항만서비스 저하에 시달려왔다. 실제로 2014년 인천항 전체 컨테이너 터미널의 하역능력은 142만 TEU인 반면, 이곳에서 처리한 물동량은 198만 TEU로 하역능력 대비 40% 초과 달성했다.
그러나 지난 2015년 6월 선광신컨테이너터미널(SNCT)과 2016년 3월 한진인천컨테이너터미널(HJIT)이 신항에서 운영을 시작하면서 109만 TEU의 하역능력이 추가 공급됐다. 올해 인천신항이 전면 개장하여 정상운영을 시작되면 인천신항의 하역능력은 총 210만 TEU로 증가한다.
특히 인천항은 지난해 10월부터 매월 25만 TEU를 처리하면서 컨테이너 항만의 위상을 보여줬다. IPA는 향후 인천항의 과제에 대해 수출입 물동량의 불균형을 완화시키고 원양항로 확대, 지원시설 확충 등의 서비스 제고를 꼽았다.
남봉현 IPA 사장은 “올해 인천신항 전면 개장을 계기로 주요 화주들에게 인천신항의 지리적, 경제적 강점을 적극 홍보하는 것과 함께 원양 신규항로 유치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 컨테이너 물동량 300만 TEU 물동량 목표를 이뤄내겠다”고 말했다.
임준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