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성향 유권자 참여로 ‘표심 왜곡’ 가능성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경선에 참여할 선거인단 모집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역선택’ 문제가 변수로 떠올랐다.
민주당이 ‘완전국민경선제’를 도입, 지지하는 정당에 관계없이 누구나 선거인단에 참여할 수 있도록 문을 개방함에 따라 자칫 보수 성향의 유권자의 대거 참여로 인한 표심 왜곡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문재인 후보가 되는 건 무조건 막아야 한다’는 내용과 함께 민주당 선거인단 참여를 독려하는 보수단체의 글이 지난 15일 SNS를 타고 퍼진 것이 주요 원인이 됐다.
선거인단 모집과 관련, 문재인 전 대표, 안희정 충남지사, 이재명 성남시장 등 민주당 대선주자들의 높은 지지율 덕분에 200만 명 이상의 참여를 예상했던 민주당으로서는 변수가 돌출된 셈이다.
특히 주요 지지층의 성향에 따라 역선택 변수를 바라보는 주자들의 셈법도 엇갈리고 있다. ‘대세론’을 이어가고 있는 문 전 대표 측은 역선택 가능성을 경계하면서도 지지층의 참여를 통해 극복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언론지원단장을 맡은 박광온 의원(수원정)은 페이스북 글을 통해 “역선택을 걱정하는 분들이 주위에 많다”면서도 “선거인단 100만, 200만, 300만이 되면 일부 악의적인 역선택은 자연스럽게 정제될 것이다. 걱정하지 말고 국민만 보고 가자”며 지지층의 참여를 독려했다.
반면 중도보수층에서 강세를 보이는 안 지사 측은 ‘역선택’이라는 규정 자체가 당의 외연을 좁히려는 프레임이라고 지적하며 ‘다양한 국민의 참여를 막는 걸림돌이 되면 안 된다’고 주장했다.
안 지사 측 박수현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보수적 지역의 어르신까지 민주당 국민경선에 참여해보고 싶다는 것은 결과적으로 우리가 바라는 국민통합의 꿈이 아니겠나”며 “(역선택에 따른 유·불리에 대해) 상상하거나 기대해본 바도 없다. 진정 촛불과 태극기로 상징되는 극단의 분열 시기를 치유하고 통합의 대한민국으로 나가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이 시장 측 김영진 의원(수원병)도 이날 “표본이 100만 명이 넘으면 역선택 자체가 별 의미가 없다”며 “더 많은 국민이 참여할 수 있게끔 서로 노력하는 게 역선택을 방지하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말했다.
강해인·송우일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