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가 수원 군공항 예비이전 후보지로 화성시 화옹지구를 선정, 발표(본보 17일자 1ㆍ3면)함에 따라 경기도의 대응체제 마련도 빨라지고 있다.
도 관계자는 “수원 군 공항지역 주민도 경기도민이며, 이전대상 후보지역 주민도 경기도민이다”며 “도는 군 공항 이전과 관련한 지역주민의 피해갈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 행정을 펴나갈 방침이다”고 19일 밝혔다.
도가 마련 중인 대책은 대략 주민 갈등 해소와 해당 지역 주민지원 등 2개 방향으로 압축된다.
도는 주민갈등 해소를 위해 이른 시일 내에 ‘갈등조정협의회’를 구성, 기관ㆍ단체ㆍ주민 간 표면화되는 갈등을 해소하고 해결안을 마련해 적극적인 중재에 나설 예정이다.
또한, 수원 군 공항이전이 가시화됨에 따라 올 하반기에는 이전부지 선정계획 공고 및 유치신청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주민투표도 진행해야할 것으로 보임에 따라 선거관리를 위한 사전준비에도 전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더불어 도는 20명 이내로 구성되는 이전후보지 선정위원회(위원장 국방부장관)에 도지사가, 실무위원회(위원장 국방부차관)에 부지사가 당연직으로 참여하는 만큼 이전부지 지자체와 주민 의견이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의견수렴에도 나서 갈등의 폭을 줄여나갈 계획이다.
주민지원책은 이전지역의 사회기반시설 마련을 위한 국고보조금과 도비 매칭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도는 우선 국무조정실장을 단장으로 하는 수원 군공항 이전 지원단이 구성되면 곧바로 이전후보지 개발을 위한 지원협의에 나설 예정이다. 수원 군공항 이전이 가시화된 만큼 내년부터 본격적인 신공항 건설 및 주변지역 개발사업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사업비만 약 7조 원(수원시와 국방부의 협의 규모) 가량 투입될 것으로 추정되고 사업기간도 2024년까지 장기적으로 이루어지는 만큼 도는 국고 확보와 더불어 이에 매칭할 도비 마련방안을 적극 강구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지원사업 전개과정에서 주민들이 소외되거나 바람이 반영되지 않을 경우, 또다시 갈등 요인이 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사전에 주민의견 수렴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수원 군공항 이전지 결정 여부는 중앙정부의 몫이다”면서도 “도는 중앙정부의 결정을 존중하지만, 선정위원회나 실무위원회에서 도민의 입장과 바람을 적극적으로 제시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한편, 남경필 경기지사는 지난 17일 도 주간정책회의 자리에서 “(군 공항 이전과 관련해) 여러 이해관계가 엇갈리고 있어 도에서 해야 할 일이 많다. 관련 기관, 해당 시 등과 긴밀히 협력해 이전 문제가 잘 진행될 수 있도록 해 달라”며 태스크포스(TF) 구성을 지시했다.
정일형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