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교육공무직본부 인천지부 소속 영어 강사 기자회견
해고자 구제·고용안정 대책 촉구… 시교육청 ‘압박 작전’
인천지역 초·중·고교 영어회화전문강사들이 재계약 보장 등을 둘러싸고 인천시교육청과 마찰을 빚고 있다.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인천지부 소속 영어 강사들은 23일 시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재계약을 하지 못한 강사들의 해고자 구제와 고용안정 대책을 요구했다. 이들은 시 교육청이 영어강사 고용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는 등 고용안정대책을 전혀 마련하지 않아 문제가 커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지난해 수요조사가 이뤄지기 전 시교육청이 현원인 168명에 대한 2017년 예산을 확보해 교육청 차원의 인위적인 해고가 없을 것이라고 해놓고 이제 와서 사업종료 이유로 해고 통보하는 것은 부당하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인천지역 영어 강사들은 지난 2012년 311명이던 것이 2014년 299명, 2015년 256명, 지난해 173명으로 크게 줄었다. 시교육청과 일선 학교 측에서 강사들이 아닌 교원들에게 수업시수를 우선적으로 배정하고 이를 빌미로 계약을 해지하는 등의 감원정책과 함께, 고용불안과 차별적 처우로 중도퇴직이 늘었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이들은 시교육청이 처우 개선은 커녕 일선 학교에 연락해 강사 계약 해지를 종용하는 등 문제를 더욱 키우고 있다며 불만을 토로하며 지난 22일부터 시교육청 정문에서 노숙 농성을 진행하고 있다. 이들은 인천지역 학교들의 수업시수 확보노력, 강사들의 다른 학교 전환배치 안내, 기존 인력에 대한 인력풀제 방식의 선발제도 변경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인천의 한 학교 영어 강사 A씨는 “교육청이 전문강사 사업계획 수립과 60%의 예산을 편성하면서도, 강사들의 고용문제를 일선 학교에 떠넘기는 것은 무책임한 태도”라며 “강사들의 처우개선과 고용불안 문제를 시교육청이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강사 B씨도 “문제해결을 위해 박융수 교육감권한대행 면담을 요구했지만 거절당한데다, 농성 중에 전기를 차단하고 건물 화장실 사용을 통제하는 등 책임 회비로 일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 관계자는 “해당 학교가 사업종료 입장을 이어갈 경우 재계약은 어렵다”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