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택지 개발사업과 주택건설, 주거복지사업 등에 총 17조 5천억 원을 투입한다.
LH는 최근 이사회를 열고 올해 17조 5천억 원 규모의 사업계획을 확정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사업비보다 1조 2천억 원 늘어난 것이며 최근 4년간 투자계획 대비 최대 규모다. 부문별로는 개발사업을 위한 토지 취득에 3조 8천억 원, 대지조성에 4조 1천억 원을 투자한다.
또 공공임대 등 주택건설에 7조 8천억 원, 주거복지에 1조 8천억 원의 사업비를 배정했다. LH는 최근 3년간 적극적인 부채감축과 판매 성과를 바탕으로 행복주택, 뉴스테이 등 정책사업을 충실히 이행하면서 정부의 경제활성화를 위한 재정집행 확대 정책에 부응하기 위해 예년보다 사업비를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LH는 올해 경기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재정에서 집행하는 12조 4천억 원 중 절반이 넘는 6조 4천억 원(52%)을 상반기에 집중하기로 했다. 또 건설경기 활성화를 위해 작년보다 1조 8천억 원 늘어난 13조 8천억 원 규모의 공사·용역을 발주할 계획이다. 자체 재무부담은 줄이면서 정책사업은 차질없이 추진하고자 사업방식 다각화는 더욱 확대한다. 민간공동사업, 리츠 등 부동산 금융을 통한 사업에 작년보다 1조 5천억 원 증가한 3조 8천억 원을 투입한다.
서민 주거안정을 위한 공공임대주택은 작년보다 1만 8천 가구 많은 8만 3천 가구를 공급하고, 대학생·신혼부부 등을 위한 맞춤형 행복주택은 역대 최대 규모인 1만 8천 가구의 입주자를 모집할 예정이다. 기업형 임대주택 ‘뉴스테이’는 올해까지 2만 가구 건설을 위한 부지(3.5㎢)를 추가로 확보한다.
이밖에 무주택 서민을 위해 공공건설임대 6만 8천 가구의 신규 입주와 4만 5천 가구의 재입주 등을 포함해 총 11만 3천 가구의 임대주택 입주를 추진한다. 올해 LH 보유 임대주택 ‘100만 가구’ 관리 첫해(102만9천가구)를 맞아 마이홈 서비스, 주거급여 조사 등 주거복지 서비스도 강화할 방침이다.
LH는 또 올해 천안동남구청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밀양·진주 지역특화산단 등 3.5㎢ 규모의 지역개발사업을 확대하고 신성장 동력 발굴을 위해 2조1천억원을 투자한다. LH 관계자는 “올해 부동산 경기 위축이 우려되지만, 임대주택 공급 확대 등 서민 주거 안정과 지역투자 확대 등 경제 활력 제고에 방점을 두고 사업계획을 수립했다”며 “지역 맞춤형 도시재생, 가로주택정비사업, 스마트시티 건설·수출 등 신규 사업과 민간 협력 사업도 더욱 강화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조성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