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시내·마을버스 운전자는 4시간 이상 연속으로 운전할시 최소 30분을 반드시 쉬어야 한다.
시외·고속·전세버스 운전자는 불가피한 경우 최대 3시간까지 연속으로 운전할 수 있고, 운행이 끝나면 30분 이상 휴식시간을 보장해야 한다.
국토교통부는 버스, 택시 등 사업용 차량 운전자의 최소 휴식시간 보장을 의무화하도록 개정된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령·시행규칙을 28일 공포했다. 개정된 법령은 버스 운전자의 피로나 졸음운전으로 인한 대형 교통사고를 막고자 업종별 운행 형태를 고려해 연속 운전시간을 제한하고 최소 휴식시간을 명시했다.
시내·농어촌·마을버스는 기본적으로 노선의 1회 운행이 끝나면 최소 10분 이상을 쉬되, 노선 운행시간이 2시간 이상이면 종료 후 15분 이상, 운행 4시간 이상이면 30분 이상의 휴식 시간을 갖도록 했다.
시외·고속·전세버스는 노선 1회 운행이 끝났거나 운행기록증 상 목적지에 도착하면 15분 이상의 휴식시간을 보장해야 하며, 2시간 연속으로 운전하면 휴게소 등에서 15분 이상 쉬어야 한다. 또 차 고장이나 차량 정체 등 불가피한 상황에서는 1시간까지 연장 운행하도록 허용하되, 운행 종료 후 30분 이상 휴식을 취하도록 했다.
조성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