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기리에 종영한 TVN 드라마 ‘도깨비’의 여운이 남은 촬영지가 인천의 새로운 관광명소로 떠오르고 있다. 인천 곳곳을 무대로 한 드라마 ‘도깨비’는 시청률 20%를 돌파하며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뜨거운 반응을 얻어, 종영 후에도 많은 이야깃거리를 낳고 있다.
특히 배다리헌책방 골목, 자유공원, 청라호수공원, 송도국제도시 등 낯익은 인천의 명소들이 배경으로 펼쳐져 인천지역에서 더욱 화제가 됐다.
인천관광공사는 드라마 ‘도깨비’의 인천 주요 촬영지와 주변 관광지·맛집을 한데 어우른 인천 도깨비여행 3가지 테마코스를 개발해 공개했다.
또 주요 촬영지를 배경으로 도깨비 포토존을 설치해 도깨비 검과 여주인공 교복, 저승사자 모자 등의 의상을 착용해 마치 주인공이 된 듯 기념사진을 찍을 수 있는 코너도 마련했다.
3가지 테마로 즐기는 도깨비 여행
첫번째 테마는 배다리 헌책방골목-송현근린공원-자유공원-제물포 구락부-차이나타운-송월동화마을 등으로 이어지는 ‘원조 도깨비코스’다.
1화 김고은이 자신의 상황을 푸념하다 우연히 공유를 소환하는 장면(자유공원), 2화 김고은을 데려가려는 저승사자 이동욱과 이를 막는 공유(송현근린공원), 5화 공유가 책을 보다가 김고은을 발견한 뒤 집으로 순간이동하는 장면(배다리 헌책방골목 한미서점) 등으로 소개된 곳이다.
이 곳에서는 과거 배가 닿아 ‘배다리’라 불린 국내 대표 책방거리의 정취를 느낄 수 있다. 1970년대만 해도 배다리 일대에는 30곳이 넘는 헌책방들이 기찻길을 사이에 두고 줄지어 늘어서 있었다. 도서 대여점 열풍, 급증하는 도서관, 대중화된 인터넷 도서판매점 등 세월의 변화에 밀려 쇠퇴기를 맞았지만 4~5곳의 책방들은 아직까지 남아 옛 책방거리의 명맥을 잇고 있다.
인천관광종합안내소 내 포토존.
또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근대공원인 자유공원과 대한민국 안의 작은 중국인 차이나타운, 일제시대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개항장 거리 등 인천의 대표 관광지도 함께 둘러볼 수 있다.
두번째 테마는 수도권매립지-청라호수공원-경인아라뱃길-정서진 등 서구지역의 풍광을 담은 ‘웰니스 도깨비코스’다.
2화와 3화에서 공유와 이동욱이 납치당한 김고은을 구하는 장면의 배경이 수도권매립지 도로였으며, 4화 공유가 김고은에게 검에 대한 비밀을 밝히는 등 데이트에 나선 장소가 청라호수공원이다.
국제도시의 면모가 물씬 풍기는 청라국제도시와, 수도권을 대표하는 자전거 코스를 마주할 수 있는 경인아라뱃길 주변과 연계한 볼거리가 있는 곳이다.
▲ 청라호수공원.
마지막 3번째 코스는 ‘로맨틱 도깨비 코스’로 송도국제도시 일원을 돌아볼 수 있는 곳이다. 특히 13화 공유와 김고은이 함께 여행을 떠나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장면의 배경인 경원재 앰베서더 호텔과, 드라마 뿐 아니라 여러 매체를 통해 널리 알려진 송도국제도시의 여러 명소들을 한 자리에서 둘러볼 수 있는 곳이다.
경원재 앰베서더 호텔 측은 드라마 도깨비를 계기로 둘만의 계약서 작성이 포함된 패키지(숙박+조식)을 출시했다. 또 자체 제작한 도깨비 모양의 토기잔에 칵테일을 즐길 수 있는 각종 프로모션도 기획 중에 있다.
▲ 자유공원 야간조명
해외로 뻗어가는 한류, 동남아 관광객 사로잡을 ‘도깨비’
인천시와 인천관광공사는 태국과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주요지역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드라마 도깨비’의 인천 주요 촬영지를 활용한 마케팅에 본격 착수한다.
공사는 한국관광공사 방콕지사 주최한 Love Korea, 태국 국제관광박람회, 말레이시아 관광박람회 등에 잇따라 참여해 해외 현지홍보에 주력한다. 특히 오는 4~5월 동남아 주요국 방한 관광 성수기에 대비, 주요 촬영지 중 동남아 관광객들이 선호하는 벚꽃이 많이 피는 자유공원, 제물포구락부, 배다리 헌책방 골목, 차이나타운 등지로 펼쳐지는 코스 홍보에 주력할 계획이다.
인천관광공사의 한 관계자는 “중국 사드 등 국제정세 급변으로 시장다변화 전략의 일환으로 동남아, 일본, 대만, 홍콩 시장에 대한 공격적이고 집중적인 마케팅이 필요하다”며 “인천 촬영지를 연계한 한류상품 개발과 홍보에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경기일보 뉴스 댓글은 이용자 여러분들의 자유로운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건전한 여론 형성과 원활한 이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사항은 삭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경기일보 댓글 삭제 기준
1. 기사 내용이나 주제와 무관한 글
2. 특정 기관이나 상품을 광고·홍보하기 위한 글
3. 불량한, 또는 저속한 언어를 사용한 글
4. 타인에 대한 모욕, 비방, 비난 등이 포함된 글
5. 읽는 이로 하여금 수치심, 공포감, 혐오감 등을 느끼게 하는 글
6. 타인을 사칭하거나 아이디 도용, 차용 등 개인정보와 사생활을 침해한 글
위의 내용에 명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불법적인 내용이거나 공익에 반하는 경우,
작성자의 동의없이 선 삭제조치 됩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