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꿈의대학 참여 대학 타당성 논란…10곳 중 1곳 부실대

부실大가 ‘경기꿈의대학’? 도교육청과 협약 맺은 77곳 중 7곳이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의 임기 후반기 최대 역점 사업인 ‘경기꿈의대학’의 구체적인 운영 안이 발표(본보 2월24일자 6면)된 가운데 도교육청과 업무협약을 맺은 일부 대학이 교육부가 지정한 이른바 ‘부실대학’으로 확인돼 논란이 일고 있다.

 

5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도교육청은 오는 4월10일 개강을 목표로 ‘경기꿈의대학’의 마무리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지난달 23일 학생안전사고 예방 대책과 관계 기관별 역할 등의 내용을 담은 ‘2017학년도 경기꿈의대학 운영 안내서’를 발표하는 등 마지막 담금질에 들어갔다.

 

그러나 ‘경기꿈의대학’ 추진을 위해 도교육청이 업무협약을 체결한 수도권 77개 대학 중 7곳이 교육부가 지정한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인 것으로 확인됐다. 교육부는 1주기(2015~2017) 대학 구조개혁 평가를 진행하면서 대학마다 A~E등급으로 나눈다.

결과에 따라 D와 E등급을 받은 대학은 정부재정지원사업, 국가장학금, 학자금대출 등의 제약을 받게 되는데, 이 같은 평가를 교육부로부터 받은 수원대와 신경대, 루터대, 웅지세무대, 을지대, 중부대, 농협대 등 7개의 대학이 ‘경기꿈의대학’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더욱이 교육부는 올해 지자체와 각 시·도교육청에 ‘D와 E등급 대학에 대해서는 신규사업 및 다년도 사업의 신규 선정 시 재정지원을 제한할 것을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지만, 도교육청은 이 같은 사실조차 모르고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함께 도교육청은 대학에 개설한 강좌마다 335만 원(20차 시 기준·강사비 및 운영비 포함)을 지급할 계획으로, 부실대학을 포함한 참여 대학은 많게는 1억 원이 넘는 비용을 지원받게 될 전망이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부실대학이라고 해서 강의나 교수진이 부실한 것은 아니다”라면서 “강좌는 교육청이 철저하게 검증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양질의 강의를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규태·정민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