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기관간 정보공유를 통해 민간차원에서 피해 최소화 방안 찾자”의견 모아
“중국인의 한국관광인 인바운드 여행시장의 급랭은 5~6월부터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 같습니다”
인천항만공사(IPA)는 사드배치에 따른 중국정부의 한국관광 금지조치(이하 금한령)와 관련, 6일 오후 4시 인천항 9개 한중 카페리선사 및 인천지방해양수산청, 인천시, 인천관광공사 관계자들과 긴급 대책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대책회의는 사드보복으로 인해 중국 정부 측이 한국 단체관광을 전면금지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IPA가 마련했다. IPA는 인천항을 찾는 중국 단체여객의 급감이 예측됨에 따라 카페리 업계의 목소리를 청취하고, 관련 정보공유 및 공조체계 구축을 통해 이번 사태를 극복해 나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 것.
회의참석자들은 단체 여행객들을 대상으로 하는 중국 정부의 여행상품 중단 조치는 크루즈 뿐 아니라 인천항 카페리 여객에도 큰 타격이 예상된다고 입을 모았다.
일부 관계자는 과거 중국과 일본 간 센카쿠 열도 분쟁에서 나타났듯이, 1년 이상 사태가 장기화할 수 있어 대책마련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한 카페리업계 관계자는 “이번 중국 조치의 영향으로 중국인의 한국 관광(인바운드) 시장에서 급랭이 확실하고, 아웃바운드 시장도 국내여객이 대중국 방문을 기피하면서 얼어붙을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같은 여행 시장의 급랭은 5~6월부터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돼 관계당국 차원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이번 사태는 정부 간 외교적으로 풀어야할 문제로 민간 차원의 대응이 힘든 것이 사실이나, 카페리 업계와 관계 기관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의견을 모았다.
당초 IPA 측은 2월 말 기준 인천항을 통해 입국하는 유커가 전년 대비 약 11% 상승함에 따라 올해 카페리 여객 전망을 밝게 내다봤었다.
IPA 홍경원 운영본부장은 “이번 긴급대책 회의를 통해 그 동안 중국 단체관광객에 편중되어 있던 관광구조를 개별 자유관광 모객 유치로 전환하는 등 관광 상품 다양화가 필요하다”며 “특히 최근 사태에 대해서는 기관과 선사가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해 위기를 타개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신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