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2년간 경기 남부지역에서 발생한 바이러스성 집단식중독의 원인을 분석한 결과 10건 중 3건은 ‘노로바이러스’가 원인이었던 것으로 분석됐다.
15일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이런 내용을 담은 ‘2014~2015년 경기지역 노로바이러스성 식중독 발생특성 및 유행양상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지난 2014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경기 남부지역 21개 시ㆍ군 보건소에 접수된 집단식중독 검체 2천917건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연구 결과, 환자 및 기관 종사자 검체 2천917건 중 762건이 양성으로 확인됐으며, 이 중 노로바이러스는 247건으로 전체 32.4%를 차지했다. 병원성 대장균은 155건(20.3%), 캄필로박터제주니(세균성 식중독의 주요 병원체) 149건(19.6%) 등의 순이었다.
월별 노로바이러스 감염 건수는 전체 247건 중 175건(70.9%)이 지난 2014년 12월부터 2015년 3월까지 발생, 주로 겨울철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윤미혜 도 보건환경연구원장은 “노로바이러스가 겨울철에 집중 발생하는 만큼 새 학기 맞은 학교를 중심으로 철저한 위생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노로바이러스는 감염력이 매우 높으며 감염 후 24~48시간 이내에 복통, 메스꺼움, 구토, 설사를 동반하고 전 연령층에 걸쳐 식중독을 유발하는 주요 병원체다.
허정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