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개청한 신생 경기북부경찰청
국가시험 주관할 여건 미숙한데
경찰조직이 알면서도 방치 지적
논란이 된 여경(순경)시험을 두고 경기북부지방경찰청이 재시험을 치르기로 해 수험생이 반발(본보 3월24일자 7면)하고 있는 가운데 사고의 원인으로 신생청으로서 경험 및 인력 부족이 꼽히고 있다. 더욱이 이같이 시험을 주관할 역량이 떨어짐에도 경찰 조직이 그간 이를 사실상 ‘방치’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일고 있다.
27일 경기북부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18일 치렀던 순경시험에서 운영 측의 실수로 답안지가 잘못 배부돼 여경 고사장에서 시험이 40분가량 지연됐고, 경찰공무원 시험 최초로 다음 달 29일 재시험을 치르기로 했다.
이에 경찰 관계자들은 다른 16개 지방청과 다르게 ‘신생’ 경기북부지방경찰청에서만 사고가 발생한 점을 주목하고 있다.
사고의 원인으로 노하우와 인원 부족 등을 꼽았다. 우선 지방청별 순경시험은 경무과 교육계가 담당하는데 경기북부지방경찰청은 교육계를 지난해 7월 신설, 지난달 비로소 정식 직제로 인정받았을 만큼 부서 자체가 충분한 내실을 다지지 못했다.
더구나 교육계는 국가직시험을 주관한 경험이 지난해 9월이 유일하고, 타 지방청과 달리 수년간의 교육계 경력이 있던 직원이 1명밖에 없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함께 경기남부지방경찰청 수준(242명)으로 인원(215명)을 뽑았는데도 경기남부지방경찰청은 교육계 인원이 11명이지만 이곳은 6명에 불과하다. 국가직 공무원시험을 치를 전반적 여건이 뒤처졌다는 해석이다.
일각에선 위기관리능력 부족도 지적하고 있다. 한 경찰 관계자는 “당시 잘못된 답안지로 시험을 치른 뒤 이후 경찰 내부에서 프로그램화를 통해 문제를 바로잡는 편이 오히려 합리적”이라며 “노하우 부족이 결국 위기 발생 시 대처를 떨어트린 셈”이라고 말했다.
이와함께 경찰조직이 이를 알면서 방관했다는 비판의 목소리까지 일고 있다. 경기북부지방경찰청은 규모상 정원이 700여 명이 돼야 함에도 지난해 3월 갑작스럽게 개청한 탓에 현재 정원이 40%나 적은 500명밖에 안 된다. 부서별로 직원 확충이 시급하다고 요청했으나 지금까지 크게 나아지지 않아 내부 직원들의 보이지 않는 피로로 인한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
이에 대해 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는 “시험 부정을 수사하는 게 경찰인데도 신생 청이다 보니 전반적인 미숙함이 사고를 통해 드러났다”며 “정부가 경찰행정이 제대로 굴러갈 수 있도록 부족한 부분을 채워 줄 수 있는 지원이 시급하다”고 조언했다.
의정부=조철오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