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새로 사용될 일본 고교 사회과 교과서 24종 가운데 19종(79%)에 ‘독도는 일본 땅’으로 기술됐다.
일본 문부과학성은 지난 24일 고등학교 일본사ㆍ지리ㆍ정치경제ㆍ현대사회 교과서에 독도가 자국 영토라는 내용이 들어간 교과서 검정 결과를 발표했다. 2014년 초등학교 교과서, 2015년 중학교 교과서를 대폭 고친데 이어 작년부터 올해까지 2년에 걸쳐 고등학교 교과서도 다시 쓴 것이다.
아베 신조 총리가 2012년 재집권하기 전까지는 초등학교 지리ㆍ역사 교과서 8종 중 1종에만 독도가 일본 땅이라고 쓰여 있었지만 2014년 이후엔 6종으로 늘었다. 중학교 지리ㆍ공민ㆍ역사 교과서도 18종 모두에 독도가 일본 고유 영토라는 내용이 들어갔다. 이번에 고교 교과서에도 이런 내용이 실리면서 다음 세대 일본인 전체가 초ㆍ중ㆍ고 단계마다 반복적으로 ‘독도는 일본 땅인데 한국이 불법 점거하고 있다’고 배우는 시스템이 완성됐다.
일본은 ‘한ㆍ일이 위안부 합의를 했다’는 내용도 고교 교과서에 처음 실었다. ‘한ㆍ일 양국이 최종적ㆍ불가역적으로 해결했다’고 기록, 일본 고등학생들이 일본군위안부가 겪은 참상보다 한ㆍ일 양국이 합의를 했다는 부분에 초점을 맞춰 역사를 배우게 됐다.
일본의 역사 왜곡이 더욱 심해지고 노골화됐다. 과거 침략전쟁을 통해 이웃 국가들의 주권과 인권을 침해했던 역사적 잘못을 망각하고 또다시 고통을 주고 있다. 그릇된 역사관을 합리화하고 타국의 영토주권을 침해하는 것은 미래세대에게 분쟁과 갈등의 씨앗을 뿌리는 행위다.
황당한 것은 이준규 주일대사가 최근 일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부산 일본 총영사관 앞에 설치된 소녀상에 대해 “이전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는 것이다. “차기 대통령은 한·일 위안부 합의를 지켜야 한다”고도 했다. 민주당이 “이 대사는 일본으로 귀화했는가”라고 비판할만하다.
지난해 한·일 위안부 합의는 과거사에 발목이 잡혀 두 나라의 미래마저 어둡게 해선 안 된다는 공감대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일본이 과거사에 대한 반성과 참회가 전제돼야 가능한 일이다. 여전히 부당한 주장을 하면서 역사를 왜곡하는 상황에서 위안부 합의는 가당치 않다. 우리 국민이 절대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일본에 끌려다니는 외교부를 보면서 국민들은 분노한다. 외교부는 위안부 합의 준수를 떠들게 아니라 일본의 역사 왜곡에 좀 더 강력하게 항의하고 대처해 나가야 한다.
이연섭 논설위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