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는 인양했는데… 부지도 못 정한 안전공원·안전교육시설

수차례 토론·경청회 열고도 후보지만 압축
안전교육시설은 주민 반대에 행정절차 보류

세월호가 침몰 3년 만에 수면 위로 완전히 모습을 드러냈지만, 희생자 추모시설인 ‘4ㆍ16 안전공원’과 ‘시민안전시설’은 입지조차 확정 짓지 못하는 등 아직 갈 길이 먼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안산시와 경기도교육청 등에 따르면 두 시설 모두 유가족과 시민들 간 입장이 엇갈려 현재 입지 선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안산시는 희생자 추모시설인 ‘4·16 안전공원’(가칭) 입지를 놓고 희생자 합동분향소가 마련된 화랑유원지 인근 지역을 포함한 시 전역에 대해 시민들을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이는 국무조정실이 희생자 추모공원, 추모기념관, 추모비 등을 갖춘 추모시설을 조성한다며 지난 2015년 9월 안산시에 입지 의견을 내달라고 요청한 데 따른 것이다.

 

시는 지난해 7월 유가족, 시민사회단체, 주민대표, 건축ㆍ조경 전문가, 국무조정실 등 관계자 24명으로 구성된 추모사업협의회를 꾸려 입지를 논의하고 있다. 그러나 협의회는 그동안 수차례에 걸쳐 주민경청회와 토론회 등을 열었으나 뚜렷한 입지 안을 확정짓지 못했다.

 

주민들의 의견으로 화랑유원지와 단원고 뒷산, 단원고 앞 원고잔공원, 꽃빛공원(와동 옛 시립묘지), 하늘공원(부곡동 시립추모공원) 등 5곳을 공원 입지 후보지로 압축했을 뿐이다. 더욱이 일부 시민들이 아예 공원을 시 외곽으로 빼야 한다고 맞서 진통을 거듭하고 있다.

 

시민안전교육시설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도교육청은 오는 2019년 5월까지 단원고 인근 고잔동 부지 4천431㎡에 연면적 3천835㎡ 지하 1층∼지상 4층 규모의 안전교육 시설 건립을 추진 중이다. 이 일대는 공원 등 부지로 교육시설이 들어서려면 도시계획시설 변경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하지만, 고잔동 일부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행정절차가 보류된 상태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지난해 6월 경기도와 안산시 등 7개 기관이 ‘4·16 안전교육시설 건립 협약’에 서명해 안산시가 부지를 제공하게 돼 있다”며 “시가 행정절차를 마무리하고 부지를 제공하면 이후 추진과정에서 발생하는 주민 반대를 포함한 모든 문제는 우리가 풀어가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안산시 관계자는 “안전공원의 경우 상반기까지 주민, 유족들과 입지문제 협의를 이어갈 방침”이라며 “시민안전교육시설은 도시계획심의위원회 상정에 앞서 부지에 대한 주민 반대 의견이 제출돼 도교육청에 대응책을 제출해달라고 요청했으나 아직 회신이 없어 이후 행정절차를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구재원ㆍ권혁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