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대] 일(1)코노미

이연섭 논설위원 yslee@kyeonggi.com
기자페이지

1인 가구 비율이 520만을 넘어섰다. 전체 가구의 27%를 차지, 세 집 중 한 집은 ‘싱글족’인 셈이다. 통계청은 2035년엔 763만 가구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1인 가구의 급증으로 트렌드가 바뀌었다. 혼밥, 혼술, 혼영, 혼행, 혼캠 등 ‘혼자서’ 밥 먹고 술 먹고 영화 보고 여행하고 캠핑하는 ‘혼족’이 늘었다. 취업난과 경제불황,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는 사회 분위기도 혼족 증가에 한몫했다.

 

이들은 타인을 의식하지 않고, 가족보다 자신의 건강과 경험을 중요시하면서 인생을 즐긴다. 취미나 자기계발 등을 위한 지출을 아끼지 않아 관련 시장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그래서 ‘1인’과 ‘경제’(economy)를 합친 ‘일코노미(1conomy)’라는 신조어까지 생겼다.

 

나를 위한 소비에 적극적인 사람을 뜻하는 ‘포미(FORME)족’이란 말도 있다. ‘For Health(건강)’ ‘One(1인 가구)’ ‘Recreation(여가)’ ‘More Convenient(편의)’ ‘Expensive(고가)’의 알파벳 앞 글자를 따서 만든 신조어다. ‘나를 위한 선물’에 재정을 아끼지 않는 이들을 말한다.

 

1인 가구는 단기적 현상이 아니라 장기적 문화로 자리 잡을 것이란 예측이다. 이에 1인 가구를 겨냥한 각종 상품과 서비스가 늘어나고 있다. 가전업계는 소형주택에 사는 1인 가구를 겨냥해 작지만 실용적인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가구도 1인용이 각광받고 있다. 

‘작게, 혼자만, 고급스럽게, 화려하게’는 1인 가구의 리빙문화로 대변하는 키워드다. 외식업계에선 1인용 좌석이나 안주를 제공하는 업소가 늘었다. 또 1인 가구 전용 이사업체나, 혼족끼리 모여 밥을 먹거나 취미생활을 할 수 있도록 중개하는 모바일 앱 ‘혼밥인의 만찬’ 등의 서비스도 등장했다.

 

금융권도 큰 관심을 갖고 있다. KB금융은 KB경영연구소에 ‘1인 가구 연구센터’를 설립, ‘2017 한국 1인 가구 보고서’를 내놓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1인 가구는 위험한 투자보다 예·적금 등 안전자산 투자 비중이 높고, 거주 안정을 위한 ‘주택구입 및 전세 자금 대출’, 건강 및 노후를 위한 ‘암·연금·질병보험’에 대한 요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권에선 이런 니즈에 맞게 ‘1코노미 카드’ ‘1코노미 암보장 건강보험’ ‘1코노미 주식형 펀드’ 등을 출시해 히트를 쳤다. 1코노미의 키워드는 ‘오로지 나를 위해서’다.

이연섭 논설위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