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집단 내에서도 상ㆍ하위 집단 간 자산과 매출ㆍ순이익 격차가 갈수록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자산규모 상위 30대 대기업집단 매출액 중에서 삼성ㆍ현대자동차ㆍSKㆍLG 등 상위 4개 집단이 차지하는 비중이 56%에 이르렀다.
1일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2017년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지정 현황에 따르면 금융ㆍ보험업을 제외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의 매출액은 1천116조 3천억 원으로 지난해 9월보다 9조 1천억 원 줄어들었다.
매출액이 가장 많이 감소한 집단은 SK(-11조 9천억 원)로 나타났다. 한진(-7조 2천억 원), 포스코(-6조 8천억 원) 등이 뒤를 이었다. 삼성(8조 원), 롯데(5조 3천억 원), 한화(3조 1천억 원) 등은 증가했다.
상위 30대 집단 매출액은 최근 5년간 감소하고 있지만 집단 내에서 매출액 쏠림 현상은 심화했다. 상위집단(1∼4위) 매출액 감소율(8.8%)이 중위(5∼10위·15.7%)나 하위(11∼30위·23.3%) 감소율보다 낮아 상위집단 매출액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더 커졌다.
올해 삼성·현대자동차·SK·LG 등 상위 4개 집단의 매출액 비중은 56.2%로 나타났다. 당기순이익은 지난해 9월보다 2조 5천억 원(5.4%) 늘어난 48조 6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정자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