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에이전트(FA) 자격을 취득한 ‘에이스’ 오세근(30ㆍ센터)과 이정현(30ㆍ가드) 때문이다. 오세근과 이정현은 올 시즌 꾸준한 활약을 펼치며 KGC인삼공사의 통합 우승에 앞장섰다.
오세근은 올 시즌 평균 13.98점(국내 선수 3위), 리바운드 8.4개(국내 선수 1위)로 정규리그 MVP를 차지했고, 챔피언결정전에서도 부상 투혼을 발휘하며 최우수선수에 선정돼 올스타전 포함 ‘MVP 3관왕’에 올랐다
이정현도 올 시즌 평균 15.28점(국내 선수 1위), 어시스트 5.02개(7위)로 오세근과 MVP 경쟁을 펼쳤고, 챔피언결정전 6차전에서도 종료 5.7초를 남기고 과감한 돌파로 위닝샷을 성공시켜 팀에 우승을 안겼다.
올 해 연봉이 3억3천만 원이었던 오세근과 3억6천만 원을 받은 이정현은 최고의 한 해를 보내며 프로농구 ‘연봉킹’ 양동근(모비스·7억5천만원)과도 견줄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오지만 샐러리캡이 걸림돌이다.
KBL은 최근 이사회에서 다음 시즌 각 구단 샐러리캡을 올 시즌에서 동결한 23억 원으로 책정했다.
올 시즌 샐러리캡 소진율 94.7%를 기록한 KGC인삼공사로서는 오세근과 이정현에게 큰 돈을 안길 경우 통합 우승에 힘을 보탠 다른 선수들의 연봉을 삭감해야하는 진퇴양난의 상황을 맞았다.
그렇다고 두 선수 중 한 명이라도 놓친다면 팀 전력에 큰 손실을 입는 만큼 KGC인삼공사로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다. 두 선수에 군침을 흘리는 타 구단이 많은 상황에서 KGC인삼공사가 어떤 결단을 내릴지 관심이 집중된다.
홍완식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