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이 25m 골짜기 메운 ‘26초교’ 지반침하 우려

경기도시공사, 2019년 준공 목표 추진
폭우 등 자연재해 땐 침하 가능성 높아
인근 주민들, 안전 불안 대책마련 요구

▲ 학교가 자연 토지가 아닌 깊이 25m의 골짜기를 성토한 부지에 들어설 예정이어서 주민들이 침하 현상 등 안전을 우려하며 반발하고 있다. 교육부 중앙투자심사위원회에서 신설이 승인된 화성 동탄2신도시 내 26초(가칭) 부지의 모습. 오승현기자
▲ 학교가 자연 토지가 아닌 깊이 25m의 골짜기를 성토한 부지에 들어설 예정이어서 주민들이 침하 현상 등 안전을 우려하며 반발하고 있다. 교육부 중앙투자심사위원회에서 신설이 승인된 화성 동탄2신도시 내 26초(가칭) 부지의 모습. 오승현기자
경기도시공사가 오는 2019년 하반기 준공을 목표로 동탄2신도시 26초(가칭) 공사에 나선 가운데 초등학교가 들어설 해당 부지에 지반 등이 가라앉는 침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더욱이 화성오산교육지원청도 해당 부지의 침하 현상 발생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하면서 인근 주민들과 아파트 입주 예정자들이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나섰다.

 

3일 경기도시공사와 화성오산교육지원청 등에 따르면 교육부 중앙투자심사위원회는 지난달 18일 동탄2신도시에 위치한 26초등학교와 21초등학교(가칭)에 대한 신설을 승인했다. 

초등학교 한 교실당 40여 명에 육박하는 과밀학급으로 몸살을 앓았던 동탄2신도시에 숨통이 트이게 된 것이다. 오는 2019년 상하반기 준공을 목표로 공사가 추진 중인 이들 학교는 50학급(일반·유치원·특수 포함)이 넘는 큰 규모로 지어질 계획이다.

 

그러나 입주민과 아파트 입주 예정자들의 기대를 모았던 26초의 신설이 난관에 봉착했다. 깊이 25m 골짜기를 성토한 26초 부지(대지면적 1만 2천514㎡)가 흙으로 메워진 지 1년도 채 지나지 않아 침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기 때문이다. 이에 아파트 입주 예정자와 주민들은 학생 안전 등을 내세우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26초 주변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는 G씨는 “학교 부지에 대한 제대로 된 검증과 절차가 없었던 것 아니냐”면서 “경기도시공사와 교육지원청의 안일한 행정으로 애꿎은 주민들만 피해를 보게 생겼다”고 지적했다. 

건설회사를 운영했던 입주 예정자 L씨도 “땅을 단단하게 하는 다지기 작업이 이뤄지지 않은 부지에는 지반이 밀려나가지 않도록 보강토 또는 다지기 작업이 필요하다”면서 “건설사에서 근무한 경험에 비춰 이 같은 행정처리는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라고 비판했다. 이어 “성토할 때 땅을 단단하게 다지는 작업이 왜 진행되지 않았는지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화성오산교육지원청은 자연적으로 조성된 토지가 아닌 깊이 25m 골짜기를 성토한 부지에 학교가 들어서면 파일 작업(학교 건물을 지지하는 구조물을 지하에 고정하는 작업)을 마친 학교 시설 외 부지에서 침하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위험성을 제기했다.

 

화성오산교육지원청의 한 관계자는 “건축물이 세워지지 않는 공간에 폭우와 같은 자연재해가 발생하게 되면 침하 현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면서 “땅이 단단하게 굳어지는 다짐 기간이 짧을수록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도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경기도시공사 관계자는 “아직 설계 작업이 끝나지 않는 등 결정된 사항이 전혀 없다”면서 “학생 안전과 관련해서는 화성오산교육지원청 등 관계 기관과 함께 협의를 통해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규태 정민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