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계열 전공자들의 고용률이 급락하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 자연계열 전공자(15~29세) 고용률은 69.6%였다. 전년도 하반기보다 4.9%p나 떨어진 수치다. 통계청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3년 이후 하반기 고용률로는 가장 낮은 수치다. 2013~2014년 자연계열 전공자의 고용률은 77%로 전체 평균 고용률 75%를 웃돌았었다. 그러다가 2015년 1분기 고용률이 5.3%p 떨어진 이후 계속 70% 내외를 맴돌았다.
‘자연계열이 취업 잘 된다’는 그동안의 속설도 옛말이 되어가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 고용률은 자연계열 전공자들이 인문사회 전공자들보다 1%p 낮았다. 그렇다고 인문사회 전공자들의 고용률이 개선된 것은 아니다. 2013년 68.1% 이후 거의 비슷한 비율을 보이고 있다. 결국, 전체 고용률이 하향 평준화되고 있는 것이다. 2013년 77.8%였던 자연계 고용률이 급락하면서 자연ㆍ인문 계열 모두 60%대에 머문 것이다.
자연계열 전공자의 취업은 주로 제조업 분야가 소화한다. 지난해 1년은 대기업 제조업, 특히 조선 해운 업계 구조조정이 대대적으로 진행됐다. 국내 1위, 세계 7위의 물동량을 자랑하던 한진해운이 정부의 구조조정 추진으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조선업계도 대우조선해양이 1년 넘도록 구조조정의 칼질을 당하고 있다. 살아남은 동종업계의 경영이 좋아진 것도 아니다. 지난해 7월 6만5천명이 줄어든 이후 자연계열 취업난이 계속되고 있다.
대선판에는 어김없이 일자리 창출 공약이 등장했다. ‘공공부문 일자리 확충’ ‘강성 노조 퇴출’ ‘4차 산업혁명’ 등 저마다의 복안을 내놨다. 이 공약들이 공통적으로 향하는 마지막 목표는 일자리 창출이다. 역대 대선에서도 일자리 공약은 제1 화두였다. 모든 정부가 일자리 창출을 약속했다. 박근혜 정부도 창조경제를 앞세워 일자리 창출 약속을 했었다. 하지만, 결과는 모든 계열 전공자들의 고용률 동반 추락이다.
모든 책임을 정부에만 돌릴 수는 없다. 하지만, 정부 책임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크다는 지적까지 피해 갈 수는 없다. 기업 투자를 유인하지 못한 잘못이 있고,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확보해주지 못한 잘못이 있고, 구조조정의 파장을 예측하지 못한 잘못이 있다. 젊은이들은 지금도 배달된 선거 공보물에서 일자리 공약을 꼼꼼히 읽는다. 정부가 잘하면 그래도 좀 나아지지 않겠느냐는 기대를 갖고 있어서다. 여기에 정당이 어디 있고, 이념이 어디 있겠는가. 3일 뒤 출범할 새 정부, 그게 누구든 취업난 해소를 국정의 맨 앞 순번에 두어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