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터로 내몰리는 노년층… 75세 이상 고용률 OECD 5년째 ‘1위’

한국의 75세 이상 17.9% 기록
황혼빈곤에 은퇴 엄두도 못내

제목 없음-1 사본.jpg
한국의 노년 고용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수위를 달리고 있다. 

여전히 고령화에 대한 사회적 대응이 성숙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75세 이상 초 고령층 인구의 고용률은 5년 연속 1위다.

8일 OECD에 따르면 2015년 기준 한국의 75세 이상 고용률은 17.9%로 OECD 25개 회원국 가운데 1위로 나타났다. 75세 이상 고용률은 2위 멕시코(17.0%)보다도 1%포인트 가까이 높았다. 다음으로 일본(8.3%), 포르투갈(6.6%), 뉴질랜드(6.1%)가 뒤를 잇고 있다.

 

이에 반해 유럽국가들은 하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덴마크의 고용률은 0.0%로 75세 이상 중 일하는 노년층이 거의 없고 프랑스 0.5%, 벨기에 1.2%, 독일 1.8% 등이다.

 

OECD 평균은 4.8%로 한국보다 13.1%포인트나 낮다. 한국의 75세 이상 고용률은 2000년대 초중반까지만 해도 13∼15%대를 유지하다가 2012년 17%대로 뛴 이후 19%대까지 치솟은 상태다.

 

연령대를 좀 더 낮춰 65세까지로 확대해봐도 한국의 고용률은 OECD 상위권이다. 2015년 기준으로 한국의 65세 이상 고용률은 30.6%로 전체 OECD 회원국 중 아이슬란드(38.7%)에 이어 2위였다. OECD 평균은 13.8%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아직도 연금 등 복지제도가 제대로 정착되지 않으면서 나이가 들어서도 일자리를 놓지 못한 노인층의 현실을 반영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실제로 2015년 노인 빈곤율은 시장소득 기준(1인 가구 포함) 63.3%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상태다.

 

서울연구원 윤민석 부연구위원은 “한국의 노인들은 노후 준비가 부족하고 노인 빈곤율이 높아 65세 이후에도 일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노인의 일자리가 파트타임 등 비정규직이나 자영업 중심으로 고용이 불안정하고 노동권이 보장되지 않는 열악한 상황이 많다”고 꼬집었다.

김동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