잣나무 재선충나무, 친환경 합성목재로 탈바꿈

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가 10일 재선충병 피해목을 활용한 친환경 합성목재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친환경 합성목재로 제작한 가평 잣향기푸른숲 내 데크. 경기도제공
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가 10일 재선충병 피해목을 활용한 친환경 합성목재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친환경 합성목재로 제작한 가평 잣향기푸른숲 내 데크. 경기도제공
경기도 산림환경연구소는 국내 최초로 잣나무재선충병 피해목을 활용한 친환경 합성목재 데크 개발에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재선충병은 치사율이 100%에 이르며 재발생률 역시 높다.

 

도도 주요 산림 소득수종인 잣나무에 이 병이 확산되고 있어 많은 도내 산림농가가 피해를 입어 왔으며, 감염목 및 반경 2km 나무를 모두 제거한 후 훈증작업을 하고 있다. 하지만, 훈증제에 노출된 목재는 활용에 제한이 있다.

 

이에 도산림환경연구소는 목재부산물을 이용한 연료용 복합 펠릿의 제조방법에 관한 특허 기술을 보유한 도내 A중소기업과 연구진을 구성, 재선충병으로 버려지는 피해목을 이용해 산업화하는 방안을 모색해 왔다.

 

이번에 연구진이 개발한 방법은 A사의 특허기술을 적용한 것으로, 피해목을 2cm 이하로 파쇄한 후 이를 다시 100~200mesh의 미세분말로 분쇄해 화학적 훈증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목재에 남는 재선충병을 제거하는 것이다.

 

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가 10일 재선충병 피해목을 이용한 친환경 합성목재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재선충병 감염목을 합성목재로 가공하는 장면. 경기도제공
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가 10일 재선충병 피해목을 이용한 친환경 합성목재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재선충병 감염목을 합성목재로 가공하는 장면. 경기도제공
연구진은 이렇게 가공된 잣나무 재선충병 피해목을 잣 구과피나 외종피 등 잣 부산물과 폴리에틸렌(PE)을 혼합함으로써 친환경 합성목재와 이를 이용한 데크 제품을 만드는데 성공했다.

 

재선충병 피해목을 활용해 만든 친환경 합성목재 제품은 국내 최초다.

연구진은 친환경 합성목재로 만든 데크 신제품을 가평군 도립 잣향기푸른숲 내 명상공간에 시범 설치했다.

 

김종학 도 산림환경연구소장은 “이번 신기술 개발로 그동안 단순 연료재 등으로 활용하기만 했던 재선충병 피해 잣나무의 새로운 산업화의 길이 열렸다”며 “현재 해당기술에 대해 국내 박람회 출원 및 응용특허 취득을 진행하고 있으며, 기술 보급을 위한 정책건의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정일형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