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으로 멈췄던 이전사업 재개 향후 과제는 갈등 해소에 집중
국방부 관계기관 회의 화성 불참 계속되는 반발속 道 역할 제기
대통령 선거 기간 잠시 멈춰 섰던 수원 군 공항 이전사업 시계가 다시 움직이기 시작했다.
화성시 및 지역주민들의 반발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군 공항 이전 추진의 과제는 갈등 해소에 초점이 집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수원시·화성시, 화성지역 내 주민 간 갈등 등을 중재하는 데 경기도의 적극적인 중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국방부는 11일 오전 10시30분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에서 ‘수원 군 공항 이전사업 관련 관계기관 회의’를 개최했다. 지난 9일 끝난 19대 대통령 선거 이후 처음으로 관련 기관들이 머리를 맞댄 자리다. 이번 회의에는 국방부와 공군본부를 비롯해 경기도, 수원시 실무 담당자들이 참석해 2시간가량 향후 이전사업 추진 방안 등을 논의했다. 그러나 군 공항 이전에 반대하는 화성시는 불참을 통보, 사실상 반쪽짜리 회의로 마무리됐다.
화성시가 관련 회의에 불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국방부는 대선에 앞서 지난달 26~27일 이틀간 대전 유성구 삼성화재 연수원에서 ‘군 공항 이전사업 관련기관 워크숍’을 마련했었다.
당시 워크숍에는 국방부, 국무조정실, 공군을 비롯해 수원·광주·대구 등 군 공항 이전 건의 지자체, 경기도·경상북도 등 광역단체, 대구 군 공항 예비이전후보지인 경북 군위군·의성군 등 군 공항 관련 기관 대다수가 참석했지만, 유일하게 화성시만 참석하지 않았다. 화성시가 대화 창구를 굳게 닫으면서 당분간 수원 군 공항 이전 논의 차질은 물론 갈등 또한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상황이 이러면서 지역 간 갈등 해소를 위한 경기도의 적극적 중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광역행정기관인 경기도의 침묵이 길어질수록 갈등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 소모가 커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최순종 경기발전연구원 갈등관리센터장(경기대 교수)은 “갈등의 조정이나 중재는 당사자가 할 수 있는 일이 아닌 만큼 중립적 위치에 있는 경기도의 역할이 중요하다”면서 “경기도가 대화의 장을 마련하고, 지자체와 중앙정부인 국방부 간 가교 역할을 한다면 갈등 해소의 실마리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민감한 사안이다 보니 명확히 밝히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으나 앞으로의 해법을 고민하고 있다”면서 “중간자 입장에서 국방부, 수원시, 화성시의 의견을 조율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관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