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민정, 파격적 발탁… 검찰 개혁 정조준
조현옥 인사, 내각 女비율 30% 의지 드러내
윤영찬 국민소통, 폭넓은 언론계 인맥에 기대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청와대 핵심 참모 인사에서 ‘원조’ 친문(친문재인) 인사를 배제하고 대선 과정에서 새로 합류한 인물들을 전진 배치했다.
이날 임명된 조국 민정수석, 조현옥 인사수석,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은 모두 친노(친노무현)에 뿌리를 둔 원조 친문계 인사가 아닌 만큼 통합과 개혁을 이뤄내겠다는 문 대통령의 국정 철학이 담긴 것으로 분석된다. 앞서 임명된 임종석 비서실장 역시 원조 친문과는 거리가 멀다.
무엇보다 통상 검찰 출신 또는 법조 경력이 있는 인사를 기용하던 민정수석에 조국 교수를 발탁한 것은 파격적이라는 분석이다. 민정수석이라는 자리가 청와대와 검찰의 가교 역할을 하며 정권 운용의 도구로 활용되던 경우가 없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조국 수석의 발탁에는 검찰 개혁에 대한 문 대통령의 강한 의지가 담겼다는 분석이다. 조국 수석의 경우 오히려 검찰의 기수 문화에 얽매이지 않고 개혁을 추진하는 데 있어 자유로울 것으로 보인다. 조국 수석이 참여연대 사법감시센터 소장과 법무부 검찰인권평가위원 등으로 사법 감시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전문성도 갖췄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에 대해 임 비서실장은 “비 검찰 출신의 법치주의·원칙주의·개혁주의자로서 대통령의 강한 검찰 개혁과 권력기관 개혁 의지를 뒷받침할 적임자”라고 설명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취임사에서도 검찰을 겨냥 “권력기관을 정치로부터 완전히 독립시키겠다”며 “그 어떤 무소불위의 권력을 행사할 수 없게 견제장치를 만들겠다”고 개혁 의지를 내비쳤다. 문 대통령의 의지에 따라 조국 수석은 조만간 검찰 개혁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조현옥 수석의 발탁에 대해서는 문 대통령이 강조했던 균형인사가 반영됐다는 평가다. 문 대통령은 대선 과정에서 내각의 30%를 여성으로 채우고 임기 내에 동수 내각 실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언급했기 때문이다.
대통령의 핵심 국정 철학을 국민에게 전달해야 하는 국민소통수석에 언론인 출신인 윤 수석을 임명한 것에 대해서는 대국민 소통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로 관측된다. 문 대통령은 전날 취임사에서 “군림하고 통치하는 대통령이 아니라 대화하고 소통하는 대통령이 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윤 수석 발탁과 관련, 임 비서실장은 “폭넓은 언론계 인맥을 바탕으로 많은 언론인과 대화하고 이를 통해 대통령의 국정철학과 국정 현안에 대한 언론의 이해를 얻어내는 역할을 능히 감당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정도 기획재정부 행정안전예산심의관을 총무비서관에 임명한 것도 파격적인 인사라는 평가다. 총무비서관이 청와대 인사와 재정을 총괄하는 막강한 자리인 만큼 역대 정권은 대통령 최측근을 임명해 왔다.
하지만 문 대통령은 예산정책 전문 공무원을 총무비서관으로 발탁, 철저하게 원칙과 시스템에 따라 청와대를 운영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이와 함께 정통관료 출신으로 박근혜 정부에서 청와대 비서관 및 차관을 지낸 홍남기 미래창조과학부 1차관을 장관급인 국무조정실장에 임명한 것도 이례적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