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가 대선 공약으로 내세운 검찰개혁에 말 맞춰 차기 법무부 장관과 검찰총장에 대한 인선에 관심을 끌고 있다. 새 정부의 국정안정을 도우면서도 권력기관 개혁이라는 국정 철학을 이해하는 인물이 발탁될 전망이다.
12일 정치권과 검찰 등에 따르면 새 법무부 장관으로는 비(非)검사 출신 등용 가능성이 나오고 있다. 강력한 검찰 개혁을 공헌한 만큼 인사도 이에 따를 것이라는 분석에서다. 참여정부 시절 노무현 전 대통령은 판사 출신 여성인 강금실 변호사를 법무부 장관에 임명하며 ‘법무부 문민화’를 이뤘다는 평을 받기도 했다.
정치권에서는 우윤근 국회 사무총장과 참여정부에서 민정수석을 지낸 전해철 의원(안산 상록갑), 판사 출신인 박범계 의원 등 여당 국회의원이 거론된다. 비법조인 출신으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을 지낸 박영선 의원도 후보군으로 나온다.
검찰 출신으로는 참여정부에서 사정비서관을 지내고 문재인 캠프 선거대책위원회 법률지원단장으로 활동한 신현수 김앤장 변호사도 물망에 오른다.
차기 검찰총장도 관심사다.
검찰 출신 가운데 우선 김경수 전 대구고검장이 유력한 후보로 거론된다. 김영삼·김대중 두 전직 대통령의 아들 비리를 수사한 ‘특수통’으로 검찰 내 신망도 두텁다는 평가다.
소병철 농협대학교 석좌교수도 물망에 오르고 있다. 대전지검장, 대구고검장과 법무연수원장을 거쳐 2013년 퇴임한 소 교수는 전남 순천 태생으로 소위 ‘탕평 인사’에도 적합하다는 평가다.
현직 인사로는 김희관 법무연수원장의 이름이 자주 오르내린다. 전북 익산 출신으로 공안 수사와 정책기획이 탁월하다는 평가다. 광주 출신인 문무일 부산고검장은 ‘성완종 리스트’ 특별수사팀장을 맡아 현역 총리와 도지사를 기소한 바 있다.
최순실 게이트의 특별수사본부장을 지낸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은 참여정부 시절 민정수석비서관실 사정비서관으로 재직하며 당시 비서실장이던 문재인 대통령과 호흡을 맞춘 바 있다.
이 밖에도 김주현 대검 차장, 오세인 광주고검장 등과 19기 검사장들 일부도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다.
다만, 차기 검찰총장은 검찰총장 후보추천위원회의 후보자 추천과 법무부 장관의 제청을 거쳐야 하는 만큼 6월 이후에야 가닥이 잡힐 것으로 보인다. 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국회 청문회와 본회의 표결, 차기 법무부 장관에 대한 지명과 국회 청문회, 검찰총장 후보추천위원회 구성 및 추천이 선행돼야 해서다.
강해인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