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때 한국당 선대위 공약위원장으로 활동하며 더불어민주당과 치열한 공약대결을 벌였던 이 정책위의장은 문재인 정부에 대한 단순한 트집잡기가 아닌 전문성을 바탕으로 문제점을 지적, 시선을 모으고 있다.
그는 지난 12일 원내대책회의와 페이스북을 통해 “자유한국당은 민생을 살리고 경제를 활성화 시키는 일이라면 도울 자세가 돼 있다”면서 “새 정부는 무엇보다 어려운 민생을 살리는 것에 앞장서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하지만 그는 “추경의 목적이 대통령 선거 공약을 단순히 실천하기 위한, 예를 들면 공공부문 일자리 81만 개를 만들기 위한 것이라면 세금만으로 일자리를 지속할 수 없다”며 “그러한 추경에 대해서는 찬성할 수 없다는 점을 지적한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이번 추경은 경제를 살리는 마중물이 돼야 할 것”이라면서 “특히, 민생을 살리고 청년 일자리를 늘리고, 영세 자영업자를 살리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진정한 일자리는 민간 경제를 활성화시켜서 지속가능한 일자리를 만들어야 한다는 점을 다시 강조한다”며 “청년일자리를 진정으로 해결하려면 경제활성화를 위해서 지속적으로 요구해왔던 노동개혁법,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규제프리존법 등 청년일자리 창출을 유도하는 핵심적인 법안을 조속히 처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재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