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공공부문과 함께 민간기업 비정규직도 처우개선 나선다

인천시가 새 정부의 비정규직 정책 기조에 따른 공공부문외에도 민간기업의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추진한다.

 

21일 인천시에 따르면 다음달 인천 민간기업 비정규직 근로자들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임금수준을 올리는 등 처우개선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꾸린다.

 

TF는 시와 중소기업, 경영자단체, 노동자단체, 학계, 취업상담업 등의 관계자들로 구성된다.

인천지역 사업체 근로자는 총 93만2천여명으로 제조업이 23만5천여명(25.2%)으로 가장 많고, 도매·소매업 13만여명(13.9%), 음식숙박업 9만7천여명(10.4%) 등의 순이다.

 

시는 인천에 산업단지가 많은 특성상 이곳에서 일하는 제조업 근로자들의 평균 근로시간이 길고 임금이 낮아 높은 실업률로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특히 남동공단에서는 주문자가 요구하는 제품과 상표명으로 완제품을 생산하는 OEM 방식으로 운영하는 사업체가 많다고 언급하며, 사업체의 근로자 고용유지율이 낮은 것으로 보고 있다.

 

반면에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서는 양질의 일자리가 생겨나고 있어 제조업과의 일자리 양극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는 점을 주목하고 있다.

 

이에 따라 TF에서는 비정규직 감축 및 처우개선을 비롯해 인천의 산업구조 문제점 등을 진단하고 개선방안도 논의할 방침이다. 인천이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묶여 산업 등의 발전에 제한을 받고 있어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지 않으면 일자리 문제를 해결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시는 우선 정부가 일자리위원회를 구성하면 ‘전국 시·도에 지역위원회를 둘 수 있다’는 조항에 따라 정부의 명확한 지침이 내려온 뒤 인천에 지역위원회를 설치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시에서 일자리 목표 공시제 등의 자료를 파악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장이 재임 기간 진행하고 있는 일자리 사업의 내용과 추진 현황 등이다.

 

시는 공공부문 뿐만 아니라 민간부문에서도 일자리 정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의 한 관계자는 “정부의 정확한 지침이 다음달 전국 시·도에 내려갈 것”이라며 “공공부문에서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강력히 추진하며 민간부문에서도 비정규직 문제가 해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백승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