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경기문화재단, 경기도형 문화영향평가 모델 개발 위한 ‘문화영향평가 전문가 포럼’ 26일 열어

▲ (0524)문화영향평가-포럼-웹배너

경기도와 경기문화재단은 26일 오후 2시 경기상상캠퍼스 3층 다사리문화기획학교에서 ‘경기도형 문화영향평가 모델 개발’을 주제로 <문화영향평가 전문가 포럼>을 연다.

 

문화영향평가는 국가, 지방자치단체가 각종 계획과 정책을 수립할 때 문화적 관점에서 국민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제도다. 지난 2015년부터 문화체육관광부가 추진해왔으며, 향후 평가 결과를 실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문화 컨설팅’을 진행할 예정이다.

 

경기문화재단은 도의 의뢰를 받아 경기도 특성을 담은 ‘경기도 문화영향평가 모델’을 개발 중이다.

 

경기도형 문화영향평가 모델 개발 방향 설정과 문화영향평가 제도의 인식 확대를 위한 의견을 모은다. 이번 포럼에는 도내외 전문가가 참여한다.

 

양혜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문화영향평가제도 운영 성과 및 2017년 추진방향’을 시작으로 김성하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의 ‘경기도 문화영향평가 도입방안’ 발표가 이어진다. 송호창 공공정책평가연구원은 ‘2016 소통과 혁신의 경기도 신청사 건립’에 대해, 염신규 한국문화정책연구소장은 ‘경기도 맞춤형 정비사업’에 대해 이야기한다.

아울러 경기도형 문화영향평가 모델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 그리고 도내 문화영향평가 전문인력 양성 방법에 대해서 논의한다.

 

재단 관계자는 “경기도는 지역 범위가 넓은 만큼 다양하고 의미 있는 지표가 개발될 것”이라며 “이 제도가 도민의 삶에 가까운 문화 평가로 자리매김 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손의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