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불조심 강조기간이 지난달 말로 종료됐지만, 지속된 가뭄으로 경기도 내 곳곳에서 여전히 산불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지자체가 산불 발생에 대비, 임차해 운용하던 헬기의 계약 기간이 모두 끝나 산불 발생 시 진화에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또한, 산불진화대원 역시 예산이 모두 소진돼 추가적인 예산 확보가 시급한 실정이다.
8일 경기도와 각 시·군에 따르면 도와 각 시·군은 올해 86억 4천만 원을 들여 지난 2월 1일부터 산불 진화용 임차헬기 20대를 운용했거나, 불조심 강조기간이 지난달 31일을 전후해 임대기간이 모두 만료됐다.
이제부터는 대형 산불이 발생하면 경기도소방재난본부 헬기 2대와 산림청 헬기에 의존해 진화에 나서야 하는 상황이다. 대형 산불진화는 사람과 장비의 접근이 어려워 헬기 의존도가 70∼80%에 달한다.
이런 가운데 산불 현장에 투입되는 진화대원 역시 배정된 예산 82억 원(1인당 1일 5만 원)도 바닥이 나 운용에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이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지자체마다 예산 한계로 산불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2~5월, 11~12월에만 예산을 배정해 임차헬기와 산불진화대원을 운용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올해는 가뭄이 장기화하면서 이 기간을 벗어나 곳곳에서 산불이 발생하고 있어 시급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지난 5일 오전에서는 안양시 만안구 삼성산 국기봉 부근에서 산불이 발생했고 같은 날 양주시 남면 감악산에서도 산불이 나는 등 산불이 가뭄 탓에 진정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도는 급한 대로 불조심 강조기간을 이달 말까지 연장하고 헬기 2대를 추가로 확보하는 한편 다른 업무에 배치됐던 시군 산불진화대원의 1/3을 다시 산불진화 업무에 배치하도록 긴급 조치했다.
도 관계자는 “올해는 봄 가뭄이 지속하면서 산불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나, 예산 문제로 임차헬기나 산불진화대원을 더 이상 운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라며 “산림청에서도 추가적인 예산 지원을 통보한 만큼 초동대응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일형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