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성남 오리 사옥 재매각 추진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8년째 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는 종전부동산 성남 오리 사옥을 다시 시장에 내놨다. 하지만 매각 예정액이 3천억 원이 넘는데다 용도가 업무시설로 한정돼 있어 매각에 여전히 난항이 예상된다.

 

11일 LH 경기지역본부 등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지난 9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수도권 주요 지역에 있는 공공기관 종전부동산을 매각하기 위한 투자설명회를 열었다.

설명회에 소개된 매물은 총 15곳으로 LH 경기본부가 사무실로 이용하고 있는 오리 사옥을 비롯해 서울 서초구의 한국인터넷진흥원 사옥, 서울 강남구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사옥 등이 포함됐다.

 

이 가운데 총 부지면적이 3만 7천988㎡로, 본관(2만 8천50㎡)과 별관(9천847㎡)으로 구성돼 있는 LH 오리 사옥은 감정평가에 따른 매각예정액이 3천524억 원으로 15개 매물 가운데 가장 높다.

 

LH는 경남 진주로 본사를 이전하면서 2010년부터 오리 사옥 매각을 추진해 왔다. 하지만 업무시설로 지정된 데다 감정가액이 높아 매각 작업이 수년째 헛바퀴를 돌았다. 주거시설을 지을 수 있도록 허용된다면 매각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관측돼 왔으나, 지난 4월28일 경기도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업무시설 건축만을 허용하는 내용의 ‘성남시기본계획 변경안’을 조건부 의결하면서 주거시설 건축은 사실상 물 건너간 상태다.

 

이에 따라 LH 내부에서는 오리 사옥 매각이 여전히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LH 경기본부 관계자는 “사무실에 한정된 건물을 3천억 원이 넘는 거액을 들여 살 사업자는 많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만약 처분이 된다면 국가정책에 부응하고자 당연히 사무실 이전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토부는 오리 사옥의 원활한 매각을 위해 여러 방면으로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기존 입지 규제를 완화하고 매각방식을 매입자에게 유리하도록 다양화하는 등 원활하게 매각되도록 효과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조성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