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곤 부총리 취임…“무너진 교육사다리 복원하겠다”

제목 없음-1 사본.jpg
김상곤 전 경기교육감이 5일 신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에 취임하고 ‘교육 사다리’ 복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불평등하고 서열화돼 있는 교육체제를 바로잡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김 부총리는 이날 정부 세종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사회적·경제적 불평등을 축소시키는 가장 강력한 방법은 교육의 기회를 균등하게 하는 것”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개혁의 핵심은 특권으로 불평등하고 경쟁 만능으로 서열화돼 있는 불행한 교육체제를 바꾸는 것”이라면서 “급격하게 무너진 교육 사다리를 복원해 누구에게나 공평한 학습사회를 구현하겠다”고 다짐했다.

 

이와 관련, 김 부총리는 “고교 무상교육을 통한 보편교육 체제를 확고히 하면서 자사고·외고 문제 및 특권교육의 폐해 등과 연계해 고교 체제 전반을 총체적으로 살펴 개혁의 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제시했다.

 

특히 김 부총리는 과도한 개혁 추진에 대한 우려를 의식한 듯 고교체제·대입제도 개혁 과정에서 국민적 공감을 확보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국민과 교육주체의 뜻을 제대로 담아내는 절차와 과정을 마련하겠다”면서 “학부모와 교사, 대학 및 진로 진학 전문가는 물론 시민사회와 경제 주체까지를 포함해 오로지 학생의 미래와 나라의 장래를 위한 논의와 협의를 진행해 개혁안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김 부총리는 촛불 정국과 국정교과서 문제, 세월호 참사 등을 거론하며 교육부의 개혁을 주장했다.

 

그는 “많은 학생과 시민들이 ‘광장에는 있고 학교에는 없는’ 민주주의를 안타깝게 이야기했다”며 “광장에서 생생하던 민주주의는 아이들의 행복한 성장과 교육민주화로 살아나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어 “새 정부 교육정책의 출발은 교육부의 지난 과오에 대한 자기 성찰을 전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부총리는 시·도교육청 및 대학과의 소통과 협력도 강조했다. 그는 “시·도교육청이나 대학을 하부기관으로 여겨서는 안 된다”며 “수년간 지속해 왔던 중앙정부와 시·도교육청 간 대립과 갈등을 접고 존중과 협력의 새 시대를 선언해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강해인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