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종군 위안부’ 운영 입증
1944년 당시 한국여성 7명 등장
1944년 일본군 위안부(한국인)의 모습을 촬영한 영상이 73년 만에 세상 밖으로 나왔다.
지금까지 중국인 위안부를 찍은 영상이 공개된 적이 있지만 한국인 위안부는 문서·사진과 증언만이 참상을 증명하는 자료로 활용돼왔다. 영상이 처음으로 발굴되면서 일본군이 종군 위안부를 운영했다는 입증 자료가 더욱 탄탄해진 것으로 분석된다.
서울시와 서울대 인권센터 정진성 교수팀은 5일 중국 운남성 송산(松山)에 포로로 잡혀 있던 위안부 7명을 촬영한 18초짜리 흑백 영상을 공개했다. 이는 영상이 존재할 것이란 단서를 잡은 연구팀이 2년간 추적에 들어가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 소장 필름 수백 통을 일일이 뒤진 끝에 찾아낸 영상이다.
공개된 영상 속에는 미·중 연합군 산하 제8군사령부 참모장교인 신카이 대위(중국군 장교)로 추정되는 남성이 위안부 1명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나머지 여성들은 초조하고 두려운 표정으로 침묵하고 있다. 푹 숙인 고개를 들지 못하는 여성도 있다. 모두 신발도 신지 못한 채 맨발로 서 있다.
영상이 촬영된 1944년 9월8일 직후는 아시아·태평양 전쟁이 일본의 패전으로 치닫고, 일본군이 점령한 중국 송산을 미·중 연합군이 탈환한 시기다. 이때 일본군 위안부로 있던 24명 중 10명이 생존해 연합군 포로로 잡혔다.
연구팀은 영상 속 한국인 위안부가 정확히 누구인지 특정할 수는 없지만 미·중 연합군이 포로 심문 과정에서 만든 ‘조선인 위안부 명부’에 적혀 있는 이들이라고 설명했다. 명부에는 한국 이름과 당시 나이, 고향이 나온다.
연구팀은 위안부 영상을 촬영한 미군 병장이 함께 찍은 다른 영상도 공개했다. 중국 용릉에 있는 그랜드 호텔을 담은 것으로, 일본군 위안소로 사용된 곳이다.
이번 영상 발굴은 서울시가 진행하는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 관리사업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지난 2015년 12월 한·일 위안부 합의 이후 박근혜 정부가 위안부 연구 관련 예산을 끊거나 삭감하자 서울시가 서울대 연구팀에 예산을 지원해 발굴 사업을 해왔다.
연구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강성현 성공회대 교수는 “더 늦기 전에 일본군 위안부 자료의 체계적 조사와 수집이 필요한 만큼 앞으로도 계속해서 조사·발굴을 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