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송영길 의원(인천 계양을)은 10일 한국정치평론학회·한양대 언론정보대학원 개최로 한양종합기술연구원에서 열린 ‘문재인 정부의 국정과제와 협치’ 세미나에서 “과반에 못 미치는 여당 의석수로는 경제위기와 안보위기 돌파, 촛불민심을 통해 드러난 개혁과제를 이행하는 게 힘에 부칠 것”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문재인정부 초기 3년은 20대 국회와 임기를 같이하는 만큼 협치, 나아가 연정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면서 “중도-개혁-진보 세력을 아우르는 연정과 협치, 나아가 합리적 보수와의 정책연대까지 이뤄져야 한다”고 제시했다.
이에 송 의원은 ▲각 정당의 사안별 분리 대응 ▲국회의원 국민소환제도 도입 ▲‘국회의장 직권상정 및 법안 신속처리제’ 요건 완화 등 국회선진화법 개정 등의 방안을 제안했다.
송 의원은 “각 정당이 소속 국회의원들의 상임위별 자율성을 인정하고 각 상임위별로 사안에 따라 자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사안별로 분리 대응하는 경우 언제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우리 국회의 생산성이 높아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시민들의 의식이 높아지고 전자통신기술이 발전한 상황에서 전통적인 대의정치만을 고수하며 대의기관이 모든 의사결정을 독점하는 것은 더 이상 유지되기 어렵다”며 “각 정당에서는 국민의 직접적인 의사를 국회에 반영할 수 있도록 국회의원 국민소환제도를 적극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국회선진화법이 국회의 법안 처리 효율성을 떨어뜨렸다는 지적과 관련, 송 의원은 “‘동물국회’를 피하고자 만든 국회선진화법이 ‘식물국회’를 만든 아이러니한 상황”이라며 “‘사람국회’, ‘국민의 국회’가 되기 위해 국회선진화법의 개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힘줘 말했다.
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