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 학교폭력, 全사회적 강력 처방 필요하다

인천지역 학교폭력이 여전하다. 학생들 사이에 벌어지는 학교폭력이 학부모와 자녀 모두에게 공포의 대상이 된지는 이미 오래다. 교육 당국이 이에 갖가지 대책을 수없이 내놓고 있지만 정책효과가 신통치 않다. 당국의 학교폭력 대책이 정부의 다짐대로 실행돼 실효를 거두었더라면 그동안 학교폭력 사례가 크게 줄었어야할 텐데 현실은 그와 반대다.

인천시교육청이 발표한 ‘2017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봐도 그렇다. 인천시교육청은 지난 3월20일부터 4월28일까지 인천지역 525개교 초교 4학년부터 고교 3학년 23만8천60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관내 초중고 학생 1천467명이 학교폭력에 시달린 걸로 나타났다. 조사결과를 보면 조사 대상자 중 학교폭력을 경험한 학생의 응답률(피해응답률)은 0.6%(1천474명)으로 전년 (0.6%·1천474명)수준을 유지한 걸로 집계됐다.

또 피해응답률은 초등학교가 1.5%(1천94명)로 가장 높았으며 중학교 0.3%(218명)·고등학교 0.2%(149명)순으로 나타났다. 학생 1천명당 피해유형별 응답건수는 언어폭력이 4.3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집단따돌림(2.1건)·스토킹(1.7건)·신체폭행(1.5건) 등이 뒤를 이었다. 피해 유형별 비율은 언어폭력(33.3%)·집단따돌림(16.2%)·스토킹(12.7%)·신체폭행(11.6%)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은 줄었지만 언어폭력은 늘어난 거다.

피해 장소는 주로 교실 안(29.4%)이었으며 복도(12,9%)와 운동장(8.6%) 등 학교 안이 64.8%에 달했다. 피해시간은 쉬는 시간(31.8%)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점심시간(18.6%)·하교이후(15.9%)·수업시간(7.6%)이 뒤를 이었다. 최근의 학교폭력은 고교생에서 중학생으로, 남학생에서 여학생으로 번지고 있으며, 양태도 단순 폭력을 넘어 금품갈취 등 조직폭력배를 닮아가고 있다는 데 심각성이 있다.

이 때문에 피해학생이 자살하거나 정신질환 등으로 고통을 겪는 경우도 있다. 상황이 이렇게 심각한데도 학교나 교육 당국은 학교폭력에 대해 쉬쉬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사건이 알려지면 학교의 명예에 손상이 가고 학교장이나 교사가 문책을 받을 것을 우려해서다. 학교폭력이 물론 학교만의 책임은 아니다. 폭력을 앞세우는 세태, 입시스트레스, 저질 대중문화 등 학교폭력을 부추기는 요인들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하지만 학교폭력 예방의 일차적 책임은 학교에 있다. 가정교육도 중요하다. 이제는 전사회적으로 적극적이고 실질적이며 강력한 처방이 있어야 할 때다. 그리고 그 같은 노력은 지속적으로 일관성 있게 추진돼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